학술논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관계분석 :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중심으로- / Relat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Safety Behavior of Youth Leaders- Focusing on the Factors in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을 파악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1.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수준, 변수들 간의 차이, 상관관계는 어떠한가?2. 청소년지도자가 지각하는 안전의식은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안전교육,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있다면 각, 각, 매개하는지 또는 복합적으로 매개하 는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약 25개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487명의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상자의 기초통계치를 분석하였고, 주축요인추출을 위해 Varimax를 실시하였으며, 요인의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KMO & Bartlett’s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위해 도구의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변수의 차이 검증을 위해 t-test, ANOVA를 사용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간의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로서 안전관련 경험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청소년지도자에게서 안전행동의 중요성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 살펴볼 때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에 따라 체계적인 안전행동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안전의식,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β=.196)보다 안전교육(β=.386)이 안전행동에 더 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안전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밝힌 결과라 할 수 있다. 결국,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에 따라 개인 또는 단체 등의 안전교육을 맞춤형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그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소방안전과 재난안전의식이 안전점검하기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안전교육이 사전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의 중요성도 강조해야 하지만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중 소방안전과 재난안전의식을 가질 수 있는 안전교육을 강조해야 함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넷째, 안전의식은 안전교육을 통해서만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안전의식이 높을수록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되고, 안전교육이 결국 안전행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섯째, 안전행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직무스트레스를 경로로 하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직무스트레스 때문에 안전행동이 낮아진다는 주장과 상반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안전교육과 직무스트레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도 안전의식이 안전교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교육을 통해서만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을 받는 것이 안전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힌 연구의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 주관적 규범, 객관적 규범간의 관계를 밝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결국,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을 통해서 객관적 규범을 습득한 후 이를 토대로 주관적 규범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함을 밝히게 되었다. 둘째,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 및 단체의 안전교육을 밝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지도자의 평소 생활에서의 안전 행동이나 안전의식이 실제적 안전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지만, 개인 및 단체의 맞춤형 안전교육을 통해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맞춤형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업무상 직무스트레스를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밝힘으로서 안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바탕이 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가 없어 타 분야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청소년지도자의 환경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밝혀둔다. 둘째, 안전행동의 측정도구는 NCS 청소년지도 분야의 국가직무능력(NCS) 능력단위를 토대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지도 분야에서 유일하게 안전행동과 관련된 측정도구이지만 학문적인 근거를 토대로 개발된 측정지표가 아닌 현장의 직무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이 때문에 이론적 근거와 타당도 신뢰도 등에서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셋째, 청소년지도자의 분석 표본수가 418명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고, 전국의 대표성 있는 집단의 청소년지도자가 아닌 수도권 중심의 청소년지도자를 중심으로 표본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주제어: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and relations of youth leaders’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487 youth leaders from 25 centers including youth training center, youth culture house, youth counselling center answered the survey. KMO & Bartlett’s test was done for the sampling adequacy and the resulting value for Cronbach’s alpha for the most of the survey items was above 0.8.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22.0 AND Amos 22.0. Multicollinearity test for independent variables by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eid out and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was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more safety-related experiences they have had as a youth leader, the more frequently they presented safety behavior.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better that youth leaders need to be exposed to safety-related experiences more. Second,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ur. Safety education being m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r (β=.386) than safety consciousness (β=.196), the study proved the significance of safety education. Third, fire safety awarenes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resulted in safety check behaviors. Fourth, safety consciousness affected safety behavior only with the aid of safety education. The more conscious of the safety the youth leaders were, the more importance and value they gave to safety education, which eventually led them to more safety behavior. Fifth, job stress did not affect safety behavior. Safety consciousness being a meaningful factor for safety behavior, job stress was not the case. This result disproves the argument that job stress reduces safety behavior. Sixth, even with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taken consideration together, only through safety education did safety consciousness affect safety behavior. The meaningfu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elp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s and norms of youth leaders. It is recommended that youth leaders be aware of objective rules at first and then internalize them as subjective norms. Second,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customized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ird, this study help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s and job stress of youth leaders. Keywords :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Job stress, Safety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