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의지표현의 화행 기능 및 맥락적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Speech-Act Function and Contextual Usage patterns of Korean Willingness Express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한국어
의지표현
화행
기능
맥락
상황맥락
맥락문법
준구어 말뭉치
말뭉치 분석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의지표현 ‘-(으)ㄹ래(요)’, ‘-(으)ㄹ게(요)’, ‘-(으)ㄹ까(요)’, ‘-겠-’, ‘-(으)ㄹ 것이-’를 대상으로 화용적인 관점에서 각 표현의 화행 기능 사용 양상과 통사적, 맥락적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지표현을 실제적 사용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드라마 준구어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원시 말뭉치의 총 어절수는 약 30만 어절에 가까우며 이 중 의지표현으로 주석된 문장은 의문문이 914개, 평서문이 1,361개로 나타났다. 말뭉치 자료의 빈도 분석에 대한 검증 방법으로는 카이제곱 검정, 로그 우도비(log-likelihood) 등을 사용하였고 양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드라마 자료를 직접 분석하여 대화 예를 제시하였다. 분석 과제는 1) 연구 대상 표현의 기본적 양태 의미, 종결 형태 등 기초적 사용 빈도 양상, 2) 의지표현의 화행 기능 사용 양상, 3) 결합한 표현문형에 따른 의지표현의 사용 양상, 4) 공기 관계의 어휘(구)에 따른 의지표현의 사용 양상, 5) 상황맥락의 맥락 요인에 따른 의지표현의 사용 양상으로 구분하여 문장 유형에 따라 의문문과 평서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같은 형태의 의지표현이라도 의문문 및 평서문의 문장 유형에 따라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었으며 의지표현과 추측표현의 상대적 사용 빈도율에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의지표현 문장에서 반말과 높임말의 종결 형태에 따라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각 의지표현들의 가장 전형적인 화행 기능이 동일하거나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화행 기능이 동일하게 나타나더라도 세부적인 사용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화행 기능 및 문장 유형에 따라 의지표현과 결합되는 표현문형의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의지표현들이 동일한 유형의 표현문형과 결합하더라도 세부 표현문형은 다양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넷째, 의지표현과 공기 관계에 있는 어휘(구)도 화행 기능이나 문장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의지표현들이 동일한 어휘(구)와 공기하더라도 세부 화행 기능의 사용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맥락 요인에 따른 의지표현의 사용 양상에서는 ‘성별’, ‘관계유형’, ‘친밀도’, ‘연령차’, ‘지위차’, ‘격식성’, ‘공식성’을 맥락 요인으로 삼았는데 의문문의 성별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맥락 요인은 의문문, 평서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의지표현의 화행 기능의 사용 분포와 통사적, 맥락적 사용 양상의 차이는 규범(prescriptive) 문법이 아니라 실제적 사용 양상에 따른 기술(descriptive) 문법의 측면에서 한국어교육 분야의 교재 개발자, 교사, 학습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한국어교육에서 문법 항목으로 의지표현을 제시할 때 그 사용 빈도율에 따라, 또는 문장의 종결 형태에 따라 단계적인 문법 항목 제시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각 의지표현의 주요 화행 기능, 결합되는 표현문형, 자주 공기하는 어휘(구), 주로 나타나는 상황맥락을 고려하여 대화를 구성하고 이를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소개하고 의지표현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상황맥락과 맥락문법의 개념을 알아보고 상황맥락을 이루는 맥락 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의지표현을 분석할 화행 기능의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분석 방법 및 절차, 분석 자료가 되는 드라마 준구어 말뭉치 및 의지표현 주석 말뭉치 구축, 통계적 검증 방법 등의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4장과 5장에서는 각각 의문문 의지표현과 평서문 의지표현을 대상으로 화행 기능의 사용 양상과 결합 문형, 공기 관계의 어휘(구), 맥락 요인에 따른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6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 앞으로의 과제 등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unctional the Korean modal expression of willingness ‘-(으)ㄹ래(요)’, ‘-(으)ㄹ게(요)’, ‘-(으)ㄹ까(요)’, ‘-겠-’, ‘-(으)ㄹ 것이-’ to analyze and compare respectively its functional variety, contextual usage patterns and syntactic aspect. A semi-spoken corpus was built from Korean television drama scripts in order to examine speech act from the pragmatic point of view. The original corpus consists of approximately 300,000 words; among them, 914 were interrogative patterns while 1,361 were coded as declarative patterns. The study employed mixed-methods,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o verify frequency of the corpus data, Chi square test, log-likelihood was used as quantitative data analysis. In order to back up weakness of quantitative methodology, examples of the corpus data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 well. The data was analyzed into interrogative and declarative sentences according to following Categories: 1) general frequency of the expression of willingness, 2) it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usage patterns, 3) speech act patterns associated with various pattern expressions to express one’s will, 4) usage of speech act patterns in association with co-occurrence relations, and 5) the influence of the contextual variables on the usage pattern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and usage patterns between interrogative and declarative sentences, and similar result was likewise found between willingness and assumptive expressions. Also, the speech ending whether it is Ban-mal or honorifics resulted in different usages. Second, relatively the similarity and differrence of typical speech act patterns were found in willingness expressions. However, specific usage patterns were different despite the identical speech act. Third, willingness expression patterns were found different in terms of speech act functions or grammatical patterns. Furthermore, detailed expression patterns were not identical even if they were combined with the identical willingness expressions. Fourth, words/phrases that co-occurred with willingness expressions showed different according to its speech act or sentence type. In fact, some willingness expressions that co-occur with identical words/phrases, communicative usage patterns were found unidentical. Fifth, contextual variables included ‘gender’, ‘nature of the relationship’, ‘age gap’, ‘hierarchical position’, ‘formality’, ‘publicness’ and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gender’ factor in interrogative endings. In conclusion, the research believes that speech act functions in conjunction with its syntactic and contextual usage pattern will be useful for Korean language material developers, teachers, students. In short, step-by-step grammatical instruction is possible in presenting willingness expression as a grammatical item by its frequency or sentence ending patterns. Also, by arraying vital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in speech act function, co-occurring grammatical patterns and words/phrases, more pragmatic conversation according to frequent situational contexts can be practiced. Current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1 provided the purpose and rational of the study and reviewed scholarly articles that specialised in willingness expressions. Chapter 2 examined the concept of situational context and defined variables so that the frame of analysis for the study conceptualized. Chapter 3 described research design, methodology, and data gathering method that guided the construction of semi-spoken drama corpus and annotation corpus of willingness expression. Chapter 4 and 5 provided overall analysis of speech act, co-occurring words/phrases, as well as contextual variables of declarative and willingness expressions respectively. Chapter 6 summarised research findings and provided its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