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맥도웰의 자연주의와 과학적 이미지 / Mcdowell's Naturalism and the Scientific Imag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맥도웰
자연주의
셀라스
칸트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paper criticizes McDowell's naturalism from the Sellarsian point of view. McDowell argu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the world is thoroughly conceptual, and at the same time expands the concept of nature typically offered by the contemporary naturalism, claiming that human rationality that enables this conceptual mediation is also part of the natural world. However, in this expanded concept of nature, two natures that are heterogenous, that is, nature that has been disenchanted and nature that has been re-enchanted, coexist. This paper points out the philosophical problems caused by this coexistence, and advocates Sellars' dualistic way of thinking to overcome McDowell's limitations. First, we look at the way McDowell justifies the conceptual mediation of the mind and the world, describe how this leads to his liberal naturalism, and then criticize the fact that nature and reason are still in opposition within McDowell's naturalism (II). In order to resolve this opposition between nature and reason, a distinction between the manifest image and the scientific image is introduced. First,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between Sellars's manifest image and the scientific image are examined, and why it is philosophically important to successfully adju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mages, i.e., two conceptual frameworks is explained. Furthermore, after examining the recent discussion that formulates the problem of adju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mages as a ‘placement problem', it is argued that McDowell's naturalism cannot successfully solve this placement problem (III). Finally, after reconstructing McDowell's argument criticizing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I refute his argument from Kant's point of view interpreted by Sellars. My criticism consists of two parts. First, the existence of things in themselves does not threaten the independence of the everyday world. This is because there is a theoretical possibility that not only the physical objects but also the cognitive subject that recognizes them can be deconstruc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hing in itself, that i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cientific image. Second, just because transcendental idealism has subjectivity, it does not follow that the world we perceive is merely a subjective world (IV).
본 논문은 맥도웰의 자연주의를 셀라스적 관점에서 비판한다. 맥도웰은 마음과 세계의 관계가 철저히 개념적이라고 주장하는 동시에, 이러한 개념매개성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의 이성적 능력도 자연 세계의 일부라며 기존 자연주의의 자연 개념을 확장시킨다. 하지만 이렇게 확장된 자연 개념 안에는 서로 이질적인 자연, 즉 탈마법화된 자연과 재마법화된 자연이 공존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공존이 야기하는 철학적 문제를 지적하며, 맥도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셀라스의 이원적 사유 방식을 옹호한다. 먼저 맥도웰이 마음과 세계의 개념매개성을 정당화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어떻게 그의 개방적 자연주의로 연결되는지 서술한 다음, 맥도웰의 자연주의 안에서 여전히 자연과 이성이 대립되고 있음을 비판한다(II). 이러한 자연과 이성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시적 이미지와 과학적 이미지의 구분을 도입한다. 먼저 셀라스의 현시적 이미지와 과학적 이미지의 의미와 관계를 살피고 두 이미지, 개념틀의 관계를 성공적으로 조정하는 일이 왜 철학적으로 중요한지 설명한다. 나아가서 두 이미지의 관계 조정 문제를 ‘배치의 문제’로 정식화하는 최근 논의를 살핀 뒤 맥도웰의 자연주의가 이러한 배치의 문제에 성공적으로 답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III). 마지막으로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을 비판하는 맥도웰의 주장을 재구성한 다음, 이를 셀라스가 해석한 칸트의 관점에서 재반박한다. 필자의 비판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물자체의 존재는 일상적 세계의 독립성을 위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물자체의 관점, 즉 과학적 이미지의 관점에서 보면 물리적 대상뿐만 아니라 그것을 인식하는 주체 역시 이론적으로 해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초월적 관념론이 주관성을 갖고 있다고 해서 이로부터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가 한낱 주관적 세계라는 결론은 나오지 않는다(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