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재 학생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 창의적 태도와의 관계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 영재교육원 수학분야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Attitude of Gifted Stud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영재
수학적 창의성
수학 창의적 태도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학생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 창의적 태도가 어떤지 알아보고 그 둘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1. 중학교 1학년 영재 학생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 창의적 태도는 어떠한가.2. 중학교 1학년 영재 학생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 창의적 태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수행을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교 1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학적 창의성 검사를 위해 황동주(2005)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창의성 검사(MCAT, Mathematical Creative Ability Tests)를 이용하였고, 분석도구로 황동주(2005), Leikin(2009)이 각각 개발한 도구 두 가지를 적용하였다. 검사는 5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총점인 창의성과 그 하위 요소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점수를 갖는다. 수학 창의적 태도 검사 및 분석을 위해 김부윤, 이지성(2006)이 개발한 수학 창의적 태도 검사(CAS-K, Creative Attitude Scale-Korea)를 이용하였다.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는 유창성, 적절성, 적극성, 독자성, 집중성, 수렴성, 정밀성의 일곱 개 인자와 발산적 태도, 문제해결 태도, 수렴적 태도 세 가지 범주로 구성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창의성 검사의 문항별 점수분석 결과 2번, 1번, 5번, 4번, 3번 순서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특히 1, 2번 문항의 점수가 나머지 문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창의성의 두 가지 분석도구 적용 결과 나머지 요소들은 비슷한 결과 분포를 보였지만 독창성 점수 분포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학 창의적 태도는 165점 만점에 133.25점의 평균을 보였고, 총점에 대한 빈도는 “조금 창의적이다”가 4%, “꽤 창의적이다”가 62%, “아주 창의적이다”가 34%를 보여주었다. 셋째, 수학적 창의성 점수와 창의적 태도 총점과의 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창의성의 하위 요소와 태도 총점과의 관계에서는 융통성, 독창성, 유창성의 순서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창의성의 유창성 요소는 태도의 인자들 중 유창성과 가장 밀접한 상관을, 융통성 요소는 적극성 인자와 가장 높은 상관을, 수학적 창의성은 태도의 유창성, 적극성, 집중성 세 가지 인자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넷째, 창의성과 그 하위 요소들은 문제해결 태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을 맺었는데 특히 융통성, 독창성, 창의성은 강한 상관을 나타냈다. 다섯째, 회귀분석 결과 창의적 태도는 수학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태도의 인자들이 미치는 영향력으로는 유창성, 적극성 인자가 각각 .008의 유의확률로 수학적 창의성1에, 유창성, 집중성 인자가 각각 .016, .006의 유의확률로 수학적 창의성2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영재 학생들은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문제, 덜 구조적이고 덜 정의된 문제, 시행착오를 통해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서 수학적 창의력을 발휘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따라서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 열린 문제들을 많이 개발해야 하고 학생들에게 경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영재 학생들은 수학 창의적 태도 검사에서 스스로를 평균적으로 우수하게 평가하였다. CAS-K의 총점에 따른 해석에 의하면 “꽤 창의적이다” 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수학적 창의성은 태도의 인자들 중 유창성, 적극성, 집중성과 높은 상관을, 범주들 중 문제해결 태도와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또한 창의적 태도는 수학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모든 방법을 생각하고 다른 사물과 비교하여 사고하는 유창성 태도, 의심과 호기심이 많고 여러 번 생각하는 적극성 태도, 꼭 해내고야 말겠다는 집요함을 보이는 집중성 태도를 키우면 수학적 창의성의 신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의적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창의적 태도로서 유창성, 집중성, 적극성 태도 등을 키우는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한다. 학습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질적 연구 또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