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자의 직무환경과 감정노동 및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 Emotional Labor and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Highway Service Area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감정노동
직무환경
이직의도
스트레스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환경과 감정노동 및 스트레스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모형에서 독립변인은 직무관련 환경, 개인관련 환경, 조직관련 환경 등의 직무환경과 내면행위, 표면행위 등의 감정노동이며 종속변인은 이직의도이다. 매개변인으로는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신체적스트레스와 심리적스트레스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증적 조사를 위해 총 52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고속도로 휴게소 9곳에 근무하고 있는 휴게소 종사자를 표본으로 총 570부를 수집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 기술적 기초통계분석 및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였다. 직무환경의 수준이 낮을수록 신체적, 심리적스트레스가 높아지며 신체적, 심리적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노동은 스트레스에 유의미하며, 표면행위가 높아질수록 신체적, 심리적스트레스가 높아지며 반대로 내면행위가 높아질수록 신체적, 심리적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신체적, 심리적스트레스는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개인관련 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또한 감정노동의 내면행위, 표면행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도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가치는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공사혼합성격의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환경과 감정노동의 실태를 확인하였으며, 통계적 관계분석을 통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적 차원의 효과적 스트레스 해소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표본 수집과정에서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자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휴게소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는 보다 계획적이고 철저한 사전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following study takes on a relational approach in analyzing the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and stress levels of highway SA(Service Area) workers to propose a cogent method of stress relief.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overall work environment, individual specific work condition, community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ensued from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turnover intentions of the laborers, while the mediator variables correspond to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he staff experience to represent as the subfactors of stress. In pursuit of empirical evidence, the research was executed through conducting a designed survey of fifty-two questionnaires which is a total of 57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ix different highway SAs. Furthermore, multiple statistical evaluations were made to verify the hypothes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data, poorer work environment indicates high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level; while high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level reflects higher turnover intentions. In addition, there exists a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tress level; physical stress and psychological stress level increases as surface acting increases, whereas physical stress and psychological stress level decreases as deep acting increases. Further analysis illustrates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physical, psychological stress levels and turnover intentions, between physical, psychological stress levels and individual specific work condition, a subfactor of the overall work environment; and between the emotional labor ensued from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This research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and the resulting turnover intentions that employees experience as SA laborers given the peculiarity of mixed private-public ownership of highway SA. Furthermore, the study employs statistical analysis of its variables and their correlations to produce an effective stress relief plan at personal and community level for the SA workers. During the sample collection process, many difficulties arose due to the occupational distinctiveness and particularity of the SA workers. In the future, the study of SA workers requires a more detailed and thorough investigation an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