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의 관광 실태 및 무장애 관광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ourism Status and Barrier-Free Tourism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관광
무장애관광 지원방안
발달장애학생
특수교사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발달장애학생이 경험하는 관광의 실태와 이들을 위한 무장애 관광 지원방안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발달장애학생과 함께 관광활동을 경험한 특수교사 6명을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면담 질문지를 연구목적에 맞게 개발하였고 예비면담 및 특수교육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면담 질문지를 토대로 특수교사를 심층 면담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크게 발달장애학생의 관광 실태 및 특성, 발달장애학생이 관광을 경험하면서 겪는 제한들,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무장애 관광 지원방안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의 관광 실태 및 특성으로 특수교사들은 발달장애학생이 여가활동에 대한 자발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했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발달장애학생이 관광활동을 통해 만족감을 나타내고 관광활동이 자신감, 수업참여도, 생활기술 습득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내지만, 관광활동에 대한 동기는 저조하다고 인식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발달장애학생이 관광활동을 경험하면서 정보의 가시성 및 수준의 문제, 관광지 사전정보 불투명, 그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관광지 환경 부족, 관광지 직원의 인식 부족의 문제를 겪는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물리적 환경 측면, 정보접근성 측면, 맞춤형 콘텐츠 측면, 학교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적 측면에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무장애 관광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무장애 관광 지원방안을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무장애 관광지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발달장애학생의 무장애 관광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그들의 관광 경험이 증진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관광의 긍정적인 영향이 발달장애학생의 삶에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