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전후 한일 대중가요 교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change of Popular Songs between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Korea’s Libera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al exchange of popular songs that entered colonial Korea with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Empire, and to explore the cultural exchange of popular songs and between musicians after Korea’s Liberation.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poets and writers of the nursery ‘Saijo Yaso’ and ‘Noguchi Ujo’,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a new genre of popular songs and making numerous hit songs through the Dongyo (Children’s Songs) Movement and Shinminyo (New Folk Songs) Movement in the 1920s and 1930s, and analyzed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the songs created during their visits to Korea, collectively known as "Joseon Songs (Songs of Korea)." Additionally, it fully collected and catalogued “Joseon Songs” created by these two poets, and explored the process of transplanting regional songs called Shinminyo into the Joseon. In ord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ontinuity and disruption of popular songs in the pre- and post-war periods, the study trued to analyze popular musics both in Korea and Japan from a 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by focusing on Japan's high economic growth period whenational identity, dismantled after the war, began to be reconstructed. Despite the fact that Korea and Japan have the differing experiences of liberation and defeat, they shared common historical experiences such as the contact with the popular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acceptance of American music through U.S. military bases. Therefore, this study traced and investigated pre-war Joseon Songs and the common experiences verified in post-war popular music history of both countries, and thereby tried to approach the following four aspects from a 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Firstly, Saijo Yaso is much considered to be a great "lyric poet", who had an active career in broad areas from children’s songs to popular songs over about five decades before, during, and after war. He is also famous as a songwriter creating numerous popular hit songs.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Joseon Songs” with the exception of the analysis of "Kyungsung Gouta" in which he participated as a member of the judging panel for the contest organi ed by the Kyungsung Ilbo in 1931. Accordingly, in Chapter 2 of this paper, the collection and catalogue of the “Joseon Songs” written by Saijo Yaso are described. In this way,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Joseon Songs” and the significance of hi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aboration with Korean musicians in the history of Korea-Japan popular music. Secondly, Noguchi Ujo, along with Saijo Yaso and Hakushu Kitahara, is often considered to be a poet of the nursery who pioneered the new genre of the Japanese modern children’s songs. In particular, he is renowned as a "poet of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generating over ‘2000 poems’ and ‘hundreds’ of Japanese regional new folk songs and children's songs. There is no research on the "Joseon Songs" created during four rounds of lecturing tour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is visits to various Korean regions. Therefore, in Chapter 3 of this paper, the collection and catalogue of the “Joseon Songs” of Naguchi Ujo are described. In this way, this study triesto explore the music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Naguchi Ujo's attempt to transplant the new folk songs, which was popular in Japan, to Korea, along with the contemporaneity of the Korean representation. Thirdly, even though Korea and Japan faced contrasting post-war experiences of liberation and defeat, they shared the common historical experience of embracing American music through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or the U.S. Eighth Army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U.S. military occupation (or the U.S. military bases following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particular,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usicians was active during the periods of U.S. military occupation and administration. In spite of that, this mutual interaction has been completely excluded and forgotten in the current narratives of Korean and Japanese popular music history. Therefore, in Chapter 4, there is an analysis on the American music (jazz) assimilated through the U.S. military occupation and administration prior to high economic-growth era, and on the cultural contacts between Korea musician stowing away to Japan and Korean Japanese musicians. Lastly, in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of modern popular music in Korea and the narrative of popular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x of enka into Joseon and ‘trot’ has consistently been a crucial subject of examination. Particularly, since Koga Masao, widely regarded as a master of enka in Japan, lived in Joseon in his early childhood, the scales, modes, and emotions of his composed Koga melodies have been evaluated to be similar to thos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However, due to the emphasis on the positive assessment of Koga melodies as the commonality and amicable nature of enka and trot, the fact that he composed pieces with the theme of Lee Seung-man line at the center of the sharp political opposi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completely been excluded from research topics. Therefore, Chapter 5 of this paper focus on the works “Joseon Strait of the Moon" and "Lady ofTsusima" produced by the Saijo-Koga duo in 1954 when the tensions of the Lee Seung-man line peaked in the two countries. Thus,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re- and post-war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Saijo Yaso's "Joseon Songs," and the political context laying behind the evaluation of Koga melodies as a symbol of Korea-Japan friendship. In summary, this study tried to trace and investigate the pre-war “Joseon Songs” and the common experiences verified in the post-war popular music history in Korea and Japan, and to analyze the mutual communicative aspects of Korean and Japanese popular music from a 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In this way, it aimed at reassessing the narratives of popular music history in both countries, and exploring the temporality and social aspects of popular music, and mutually communicative networks of musicians.
본 연구에서는 일본 제국의 확장과 함께 식민지 조선에 진출한 대중가요의 문화 교섭과 해방 이후 한일 대중가요 및 음악인을 둘러싼 문화 교류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했다. 특히,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동요운동과 신민 요운동을 통해서 새로운 대중가요 장르를 구축하고 수많은 히트곡을 낳은 시인이자 동요작가이며 작사가로 활동한 사이조 야소(西條八十)와 노구치 우조(野口雨情)를 중심으로, 두 작가가 조선 방문을 통해서 제작한 의 동시대적 의미를 분석했다. 그리고 두 시인이 제작한 를 총망라해서 수집・목록화하고, 이를 통해 신민요라고 하는 지역 노래가 조선에 이식되는 프로세스를 탐색했다. 또한, 대중가요를 둘러싼 전전과 전후의 연속성과 단절성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패전 이후에 해체되었던 내셔널 아이덴티티가 재구축되기 시작하는 일본의 고도경제성장기를 중심으로, 한일 양국에서 유행했던 대중 음악을 문화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해방과 패전이라는 상반된 형태로 전후를 시작하지만, 일제강점기의 대중음악 접촉 및 미군기지를 통한 미국 대중음악 수용 등과 같이 공통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전의 와 전후 한일 양국의 대중음악사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경험을 추적・조사하고, 이를 통해 문화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어프로치를 시도했다.첫째, 현재 사이조 야소는 전전 및 전시기, 그리고 전후 고도성장기에 걸 쳐 약 50년간 동요에서 대중가요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활약한 ‘서정시인’의 거성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수많은 대중가요 히트곡을 낳은 작사가로도 유명한데, 에 대한 연구는 1931년에 『경성일보』가 주최한 현상응모곡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에 대한 분석 이외에 는 연구 자체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2장에서는 사이조 야소가 작사한 를 총망라해서 수집・목록화하고, 이를 통해 의 전체상 파악과 조선인 음악인과의 인적 네트워크와 콜라보 작업이 한일 대중음악사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고찰을 시도했다. 둘째, 노구치 우조는 사이조 야소와 기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와 함께 근 대 일본의 동요라고 하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동요시인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2000여편’의 시와 ‘수백 편’에 달하는 일본 지역 신민요와 동요를 낳은 ‘동요・민요시인’으로 유명한데, 그가 4회 걸친 조선 순회강연과 조선 각 지역을 방문하며 제작한 에 대해서는 선행연구 자체가 부재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3장에서는 노구치 우조의 를 총 망라해서 수집・목록화하고, 이를 통해 일본에서 유행했던 신민요를 조선에 이식하려 했던 노구치 우조의 음악사적 의미와 조선 표상의 동시대성을 탐 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셋째, 한국과 일본은 해방과 패전이라는 상반된 형태로 전후를 맞이하지 만, 미군점령기(또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이후의 미군기지)와 미군정기 (또는 한국전쟁 이후의 미8군)를 통한 미국 음악의 수용이라는 공통된 역사 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미군점령기 및 미군정기 시대에도 한일 음악인의 교류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한일 대중음악사 서술에서는 이와 같은 상호교섭적인 음악인들의 교류는 철저하 게 배제・망각되어 왔다. 따라서, 본 4장에서는 고도경제성장기 이전에 해당 하는 미군점령기 및 미군정기의 미군이라는 통로를 통해 수용된 미국 음악 (재즈)과 일본으로 밀항한 한국인 음악인과 재일교포 음악인의 문화 접촉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근대 대중음악 형성 과정 및 일제강점기 대중음악사서술 측면에서 ‘엔카’의 조선 유입과 트로트에 대한 영향 관계는 항상 중요 한 고찰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일본에서 엔카의 대부로 평가받고 있는 고가 마사오는 어린 시절 조선에서 지낸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그가 작곡한 이른바 고가멜로디의 음계 및 곡조, 그리고 정서가 조선의 전통음악과 유사 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한일 엔카와 트로트의 동일성 및 친선으로서의 고가멜로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강조한 나머지, 전후 그가 한일 양국에서 정치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었던 이승만라인을 주 제로 작곡했다는 사실은 철저하게 연구 대상에서 배제되어 왔다. 따라서 본 5장에서는 이승만라인을 둘러싼 한일 간의 대립이 극에 치달았던 1954년에 사이조・고가 콤비가 제작한 과 를 중심 으로, 사이조 야소의 를 둘러싼 전전과 전후의 연속성과 단절성, 그리고 한일 친선으로서의 고가멜로디에 대한 평가의 이면에 존재하는 정치 성에 대해서 고찰했다. 이상과 같이, 본고에서는 전전의 와 전후 한일 양국의 대중음 악사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경험을 추적・조사하고, 이를 통해 문화 커 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한일 대중음악의 상호교섭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한일 양국의 대중음악사 서술에 대한 재검토 및 대중음악을 둘러싼 시대성과 사회성, 그리고 음악인의 상호교섭적인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