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석희의 한국적 미의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ewpoint of Sukhi Kang toward Korean Aesthetics Reflected in His Musical Composition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강석희
현대음악
한국적 미의식
한국성
Language
Korean
Abstract
뉴미디어의 등장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음악의 경계와 형식을 재정립하며 음악적 다양성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 세계적인 관점에서 한국 문화와 예술 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이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대음악 작곡가 강석희(1934~2020)의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현대음악에 나타난 한국적 음악 어법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였다. 또한 윤이상(1917~1995)의 미학이 그의 제자인 강석희에 의해 어떻게 계승되고 발전했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 문화예술의 근본적 특성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여 강석희 작품 분석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와 문화적 맥락을 탐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강석희의 작품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7가지 주요 한국성 해석 관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적 음향의 관점에서 (1968)은 한국 범종의 소리에 착안하여 한국 산업화 과정의 변화가 드러나는 음향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1980)는 금속성 타악기를 이용하여 우주적 조화를 표현하였다. 둘째, 사상의 관점에서 (1974)은 변형된 12음렬과 플루트 음색을 통합하여 한국의 시대적 맥락 및 미학을 반영하였고 (1976)는 무당 굿을 기반으로 신라정신의 현대적 재구성을 보여주었다. (1990)는 만다라의 불법, 장자의 철학, 천지인 사상이 결합된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였다. (2006)는 음양오행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의 사계와 우주의 순환적 관점을 반영하였다. 셋째, 개척정신의 관점에서 (1966)은 1960년대 한국의 사회문화적 변화 속 진취성을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넷째, 즉흥성의 관점에서 와 (1981)는 동양철학과 판소리의 긴장 및 이완을 재즈 즉흥연주 기법과 결합하여 동서양의 음악적 통합을 보여주었다. (1998)은 가야금의 음색과 서양의 폴리포니적 방식을 결합하여 한국 전통춤인 민살풀이춤과의 연결을 통한 미학적 진화를 표현하였다. 다섯째, 선의 미의 관점에서 (1973)는 반야심경의 지속적 수행을 음악적으로 표현하여 수행의 실천적 교리를 연관시켰다. (1978)는 의 멜로디를 차용하여 동서양의 미학적 통합을 보여주었으며 (1988)은 주역의 원칙에 기반하여 한국적 선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풀어내었다.여섯째, 신명의 관점에서 (1991)는 추석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한국적 미학을 표현하였다. (1996/97)은 굿거리장단의 현대적 변용과 금속성 음색을 통해 신명을 표출하였다. 일곱째, 융합미의 관점에서 (1970)은 범종의 부분음과 미분음을 농현으로 구현하며 한국의 문화적 가치와 유가적 사상을 반영하였다. (1981)는 선조의 업적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동서양의 미학을 플루트로 통합하였다. (1986)과 (1988)는 각각 주역과 도의 철학, 동아시아의 연결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고 세계의 화합을 상징하였다. (1992)는 한국의 근대화 과정을 통한 변화와 천지인 사상을 반영하며 동서양 음악적 요소의 융합과 함께 세계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성 해석 관점은 단순히 전통적 요소의 물리적 재현을 넘어서 정신성을 강조하는 한국적 미의식을 드러낸다. 강석희는 “한국적인 것은 나 자신을 만드는 것, 한국적인 것을 의도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는 한국적인 것을 자신의 예술적 정체성으로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것을 강조한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은 강석희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한국적 정신성이 작품에 자연스럽게 표현된다는 점이다. 이는 예술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더욱 명확해진다. 한국성은 예술가들의 삶과 정체성을 반영하여 창작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며 이 표현 속에 한국인의 본질과 정체성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국제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 가치의 재평가와 연계하여 강석희의 작품 분석은 현대음악에서 한국적 요소의 통합과 진화를 규명하는 데 기여한다. 이는 한국 문화예술의 다양한 면모와 유기적으로 연결됨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음악적 관점에 더해 한국의 시대적, 미학적 맥락에서 현대음악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ve restructured the boundaries and forms of music, promoting musical diversity. Under these changing circumstances, the Korean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have been re-evaluated from a global perspectiv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musical language observed in Korean contemporary classical music, based on the compositions of the contemporary classical composer Sukhi Kang (1934~2020). It also analyzed how Kang inherited and developed his teacher Isang Yun’s (1917~1995) aesthetical view. To this end, it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and arts to review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cultural context relevant to analyzing Kang’s compositions. Based on the review results, Kang’s compositions were analyzed from seven main perspectives related to Korean characteristics. The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First, in terms of Korean sound, é-Buhl>(1968) mainly delivers sound portraying changes related to Korea’s industrialization, based on inspiration drawn from Korean Buddhist temple bells. (1980) expresses universal harmony using metal percussion instruments. Second, in terms of Korean thought, (1974) reflects the Korean context and aesthetics suited to the times by integrating a modified twelve-tone series with a Flute tone. (1976) demonstrates the spirit of Silla restructured in alignment with a modern perspective, with a focus on the gut ceremony performed by a Korean shaman or mudang. (1990) conveys the symbolic meaning of combining Buddha’s Dhamma, as illustrated in a mandala, Zhuang Zi’s philosophy, and the idea of Heaven, Earth, and Human. (2006) represents Korea’s four seasons and the universe’s cyclical nature, based on Yin–Yang Five Elements theory. Third, in terms of the pioneer spirit, (1966) manifests the progressive nature of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Korea underwent in the 1960s in a modern way. Fourth, in terms of improvisation,  I-a> and  I-b>(1981) blend Asian philosophy, the tension and relaxation of pansori, and jazz improvisation techniques to show the integration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1998) combines the Minsal-pul-i dance, a traditional Korean dance, with a gayageum tone and the Western polyphonic style to indicate aesthetic evolution. Fifth, in terms of lines and aesthetics, (1973) musically illustrates the constant practice of the Heart Sutra to associate practical creeds with music. (1978) represents the integration of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s through the melody of Sujecheon. (1988) reinterprets the Korean aesthetics of lines from a modern perspective,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Yi Jing.Sixth, in terms of excitement, (1991) reinterprets the tradition of Chuseok from a modern perspective to depict the Korean aesthetics of excitement. (1996/97) represents excitement by taking a modern approach to transforming Gutgeori-jangdan and adding a metal tone. Seventh, in terms of integration-oriented aesthetics, (1970) implements the microtones and partial tones of Korean Buddhist temple bells using Nonghyeon techniques to reflect Korean cultural values and Confucian ideas. (1981) integrates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s using a Flute, based on admiration for achievements of ancestors. (1986) and (1988) symbolize worldwide harmony by musically expressing the connections among the Yi Jing, the philosophy of the Tao, and Eastern Asia.  on the Brilliant Green Earth>(1992) integrates elements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by portraying changes effected by Korea’s modernization and the idea of Heaven, Earth, and Human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world peace. The analytic results indicate that Kang’s music reflects Korean aesthetics that emphasize the Korean spirit, beyond simple physical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Korean elements. Kang said, “I create a Korean thing by creating myself without intending to create a Korean thing.” His commen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turally integrating Korean characteristics with his artistic identity. This study found that Kang’s compositions naturally reflect the Korean spirit, although that was not his intention. This characteristic is more clearly observable in interviews conducted with Korean artists. Korean characteristics naturally permeate Korean artists’ works, as they create their works by reflecting on their lives and expressing their identity. Similarly, Kang’s compositions contain elements of his nature and identity as a Korean.This study analyzed Kang’s compositions based on the re-evaluation of Korean cultural values from a global perspective to verify the integration and evolution of Korean elements in modern music, and the analytic results demonstrate a connection between Kang’s compositions and various aspects of Korean culture and ar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contemporary classical music by considering not only the musical perspective but also the Korean context and Korean aesthetics according to th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