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용자 중심의 대학도서관 공간별 평가를 통한 인터랙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raction Design through the Evaluation of User-Oriented University Library Spac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인터랙션 디자인
대학도서관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르게 변화하는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대학생들의 인식에 반응하여 변화하지 못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변화가 필요하다 생각하여 사용자 중심의 공간별 평가를 통해 현 대학도서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터랙션 디자인의 적용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대학도서관에 인터랙션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함이다.선행연구에서는 상업시설과 전시시설에 인터랙션 디자인을 사용한 예가 있었지만 대학도서관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을 사용한 사례는 없었다. 인터랙션 디자인에 필요한 긍정적 요소를 얻기 위해 도서관의 변천과정과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기준, 대학도서관에 관한 인식, 해외 도서관 사례의 특징과 장점 등을 파악하였다. 사용자 중심의 대학도서관 공간별 평가는 2018년 9월 20일~2018년 10월 3일까지 단국대, 서울대, 동국대도서관을 대상으로 도면분석, 현장분석, 사진분석, 설문분석이 이뤄졌다. 대학도서관과 사용자의 관계를 이해해야만 사용자에게 필요한 개선방향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이 이용되는 과정에 관여되는 모든 요소를 정리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정하였다.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공간은 이용공간과 공용공간이기 때문에 성질이 같은 공간끼리 열람 공간, 디지털 미디어 공간, 그룹 활동 공간, 로비 및 통로 공간, 편의 및 휴게 공간으로 나누고, 공간별로 인터랙션을 정의하였다.대학도서관 공간의 사용자평가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열람 공간은 열람 공간의 환경과 좌석배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고, 학습 자료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지털 미디어 공간은 시청각 자료 감상 공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고, 멀티미디어자료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룹 활동 공간은 이용방법의 간소화가 필요하고, 분리된 공간의 제공과 융통성 있는 공간의 활용이 필요하다. 로비 및 통로 공간은 사용자에게 각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편의 및 휴게 공간은 부족하지 않은 편의시설의 제공이 필요하고, 열람공간과 분리된 휴게시설이 필요하다.대학도서관의 사용자평가 분석내용을 기준으로 한 공간별 인터랙션 디자인 적용예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열람 공간은 자유로운 열람공간의 구성과 열람실 환경의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이 크므로 좌석배치와 형태를 다양화하고 열람실을 적절하게 구분하여 좌석구성 방법과 학습 환경 제공 방법을 개선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공간은 감상환경과 자료제공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있으므로 좌석배치와 감상조건을 개선하고 영상매체를 통해 자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감상환경 제공 방법과 자료정보제공 방법을 개선할 수 있다. 그룹 활동 공간은 이용방법의 변화와 스터디룸의 기능제공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으므로 셰어링 시스템를 도입하고 보조기구를 제공하며, 확장성을 가지게 하여 이용방법을 단축시키고 스터디룸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로비 및 통로 공간은 출입 방법과 로비공간에 활용의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이 크므로 출입구를 통해 도서관의 정보를 제공하고 로비의 도서관과 소통가능한 문화요소 도입을 통해 출입과정에서 정보를 얻는 방법과 로비 공간의 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편의 및 휴게 공간은 휴식 공간의 구성과 편의시설 사용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있으므로 편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확장성을 고려하며, 휴게 공간의 가구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 공간의 이용과 휴게 공간의 휴식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university library and to show the application examples of interaction design through the user - centered space - based evalua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which is not changing in response to the role of the rapidly changing university library and the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nteraction design to university libraries.In previous research, there was an example of using interaction design in commercial facilities and exhibition facilities, but there was no case of using interaction design in university library. In order to obtain the positive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sign of interactions, the changes in libraries, the roles and criteria of university libraries, the recognition of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overseas library cases were identified. This study analyzed the drawings, sites, pictures and surveys of the Libraries of Dankook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Dongguk University. The researcher used and investigated the libraries from September 20 through October 3, 2018. The interaction design process was established by organizing all elements involved in the process in which space was used, because the users could on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braries and users to create the necessary improvement directions. Because the space used by the users is the common space and the used space, the user defined interactions by each space, dividing it into reading space, digital media space, group activity space, lobby and passage space, convenience, and rest space.The results of the user evalua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space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Reading spa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ading environment and seating arrangement, and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efficiently.Digital media spac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viewing area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provide enough multimedia data.Group activity space.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use of the method, to provide separate space and to utilize flexible space.Lobby/passage spa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about each space and to have features that make it easy to find.Convenience/rest space. There is a need to provide convenient facilities that are not insufficient, and there is a need for separate reading spaces and rest facilities. Examples of application of interaction design by space based on analysis of user evaluation by university library are shown below. Reading spaces have a large requir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a free reading spa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reading room environment, which allows diverse seating arrangements and forms, and proper separation of reading rooms to improve the method of seat configuration and the method of providing the learning environment. Because digital media space needs to improve the listening environment and data provision, it can improve the method of providing data and data information by improving the seating arrangement and viewing conditions and providing data information through video media. Because group activity spaces have requirements for how to use them and the provision of functions in the study room, they can introduce a shearing system, provide auxiliary equipment, and have scalability to shorten their use and improve the function of the study room. Because lobby and passage spaces have a large requirement for improvement of the access method and use of lobby spaces, information of libraries can be provided through entrances an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entrance process through introduction of cultural elements that can communicate with libraries in lobby, and the composition of lobby spaces can be improved. Convenience and rest areas need to be improved for the construction of resting spaces and the use of amenities, so they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convenient spaces, take into account their scalability, and adjust their furniture to suit the users' needs to improve the use of convenience and the quality of relaxation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