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退溪 李滉의 格物ㆍ物格 讀法과 退溪學派의 계승ㆍ변용 / Toegye Yi Hwang`s Interpretation of Gewu·Wuge and Its Succession·Transformation of Toegye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퇴계 이황(退溪李滉)
퇴계학파(退溪學派)
격물(格物)
물격(物格)
이도설(理到說)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이도설(理到說)로 대표되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格物’․‘物格’ 독법(讀法)이 그 후학들에 의해 계승 및 변용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성리학의 공부방법론인 격물설(格物說)이 한국철학사상 속에서 점유하는 지위와 의의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퇴계는 현토(懸吐)에 기초한 격물설을 전개하였고, 이 과정에서 ‘격물(格物)’과 ‘물격(物格)’을 각각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는 것’과 ‘내가 그 극처에 이르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 때문에 퇴계는 당초 ‘사물의 이치가 마음으로 이르러 온다[物理到心]’고 ‘物格’ 용어를 해석하는 ‘理到’ 독법을 부정하고, ‘理到’ 독법이 사물의 ‘리(理)’가 해당 사물을 벗어나 이리저리 움직임을 뜻한다고 보았다. 그러다가 최후에 ‘理到’ 독법을 긍정하는 것으로 그 관점을 전환하였는데, 이는 그가 ‘리의 체용(體用)’ 구도를 ‘物格’ 독법에 적용함으로써 ‘리’는 결코 죽은 것이 아닌 ‘살아있는 것[活物]’이라고 확신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퇴계는 ‘이도설’을 주장함으로써 격물궁리 공부의 정도에 따라 수반되는 활연관통(豁然貫通)의 경지를 ‘사물의 리가 내 마음에 이른다[物理到心]’라는 표현을 통해서도 논증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 하였다. 이는 ‘리’가 현실 세계에서 자신을 발현하며 살아있다는 점에 대한 퇴계의 확고한 믿음이다. 그러나 격물과 물격은 吾心과 物理가 현실 영역에서 분리해 있다는 것을 전제한 인식론 이론이며, ‘리의 체용’ 구도는 본체론을 논증하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후학들은 다른 범주의 이론을 융합하는 데에서 오는 혼란으로 인해 이도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理到’ 구문의 ‘到’자에 내포된 이동성의 의미를 배제하고, ‘리의 체용’ 구도를 탈각시킴으로써 ‘物格’을 ‘드러나는[呈露] 리가 모두 이해되는 것[理盡]’으로 이해하였다. 후학들의 ‘物格’ 독법 변용은 격물설이 여전히 격물 공부의 주체가 그 대상을 궁구하는 인식이론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환기한 것이다. 퇴계학파의 물격설은 이도설을 변용하고 이 변용한 학설을 계승하는 과정이었다. 이는 후학들로 하여금 격물설에 대한 논의에 한해선 독자적 입론을 개진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 준 것으로, 식산 이만부(息山 李萬敷, 1664∼1732)와 성호 이익(星湖 李瀷, 1681∼1763)이 기존 조선성리학계에서 통용되던 ‘格物’ 독법에서 진일보한 독법을 주장하는 동인이 되었다. 이들은 사물에 내재한 ‘리’의 궁구를 통해 보편 원리를 체득하는 것을 결코 간과하지 않았다. 그러나 동시에 격물 공부의 주체와 실질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사물에 나아가는 작업을 강조하였고, 해당 사물에 내재한 ‘리’를 변별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마음속에서 바루는 것을 중시하였다. 성리학 ‘格物’ 독법의 세 요점은 ‘즉물(卽物)’, ‘궁리(窮理)’, ‘지극(至極)’으로, 기존 학계가 ‘궁리’를 위주로 격물을 이해하였다면 식산과 성호는 세 독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때, ‘사물[物]’이 가리키는 것은 도덕법칙의 적용 대상인 동시에 자연물로서의 천지나 곤충초목 등 구체적인 물질이다. 이는 성리학적 격물 이론 내부에 본래 갖추고 있는 ‘바깥 사물[外物]’에 대한 탐색과 사색의 요소가 재확인된 것이다. 무엇보다 두 학자는 만물의 이치이자 보편원칙으로서의 ‘리’가 현실 세계에 드러나 있음을 전제한 상태에서 ‘格物’ 독법을 전개하였으며, 이러한 ‘리’의 속성은 그들이 ‘理到’를 변용하는 과정에서 확인한 것이다. 이는 두 학자가 서학동점(西學東漸)의 상황 하에서 독법을 매개로 한 독자적인 공부방법론을 주장하면서도 기존 조선성리학계에 축적된 지적 유산을 간과하지 않았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 the aspects of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for Toegye Yi Hwang退溪 李滉(1501∼1570)`s interpretation of Gewu格物 and Wuge物格–which is known as Lido–seol理到說–by Toegye school.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dissertation aims at establishing the statues and significance of The Great Learning大學`s concept Gewu(Investigation of things) in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Yi Hwang argued his theory of Gewu based on his hyunto懸吐(insterting suitable Korean postposition into Chinese Character) of Gewu, Wuge and its annotation of Zhu Xi朱熹(1130∼1200). And he claimed that Gewu means “I investigate the li理 of things.” and Wuge means “I arrived at the li of thing.” At first, due to this intepretation, Toegye understood lidao理到(the abbreviation of Zhu Xi`s annotation of Wuge) as “the unmovable metaphysical principle moved into my mind”, and took a negative stand on this view. And then, applying Ti–Yong體用 structure of li, he shifted his view to affirming this interpretation, and eventually argued Lido–seol. By insisting on this theory, he was convinced that li –the universal and ultimate principle of world and morality– is active being. Lido–seol shows Yi Hwang`s firm belief that li is working actively in the physical world. Gewu and Wuge, however, assume the separ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of Gewu in the physical world. For this reason, Junior scholars criticized that Yi Hwang argued that li of thing(the unmovable principle) could leave the thing and reach man`s mind. And then the scholars of Toegye school excluded the meaning of ‘laidao來到’–the first interpretation of Chinese Character dao到(predicate of lidao)–and removed Ti–Yong structure form lido–seol. According to these changes, Wuge is interpreted as “The naturally revealed li was ultimately understood.” Interpretation of Wuge by Toegye school shows that they still comprehend Gewu as the theory for epistemology in physical world. Transformation of Yi Hwang`s interpretation, moreover, gave the possibility for them to make a different argument about Gewu. Siksan Yi Manbu息山 李萬敷(1664∼1732), as a result, emphasized Jiwu卽物(getting close to things) while interpreting Gewu, which is the previous stage of Qiongli窮理 (investigating principle of things) in Gewu study. And while the former academic community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severalty of ‘li of things’, Seongho Yi Ik星湖 李瀷(1681∼1763) regarded separation for ‘li of each things’ as important in Gewu study. In the Neo–Confucian Gewu study, there are three stages: Jiwu, Qiongli and Zhiji至極(reaching to the ultimate point of li), and former academia typically understand Gewu mainly by Qiongli. Yi Manbu and Yi Ik, on the other side, they interpreted Gewu while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at three stages. At this time, Wu物(the things) refers to not only the subject of moral law, but also specific objects such as plants and animals. Their interpretation of Gewu reaffirmed that Neo–Confucian Gewu study has the aspect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bove all, the two neo–Confucianists succeeded to Lido–seol which was transformed by former Toegye school`s scholars. The two scholars in Toegye school, thus, maintain li`s fundamental characteristic that it reveals itself as principle of all things and universal law. It shows that their theory of Gewu is the result of each own research, at the same time they never passed over the intellectual heritage of former acad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