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 ‘정호와 백정’ 서술 분석 및 논쟁 학습 방안 / A Study on the Analysis of ‘Jeongho and Baekjeong’ in the Goryeo Dynasty in the Current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and Argument Learning Strategi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2015 개정 교육과정
학습 요소
정호와 백정
논쟁 학습
쟁점 학습
논쟁 기반 글쓰기
2015 revised curriculum
learning elements
Jeongho and Baekjeong
argument learning
controversial learning
argument-based writing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 argument learning plan that can be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by extending the academic debate of the newly introduced learning element ‘Jeongho and Baekjeong’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018 notice). “Jeongho and Baekjeong” reflects the latest academic research results and has been pointed out as a factor that causes confusion in the actual class scene by moving into the curriculum without being organized as a common theory.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new ‘Jeongho and Baekjeong’ despite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pre-modern history learning, and attempts to implement this in history learning. To this end, the background introduced in the curriculum was analyzed, pointing to the controversy in academia related to ‘Jeongho and Baekjeong’.The academic debate regarding ‘Jeongho and Baekjeong’ is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category of ‘Jeongho’. It is divided into a side that sets the category of “Jeongho” as the overall ruling class that rules over Yangin and a side that sets the category as the class status that exists between the ruling class and the ruled class. The point of controversy in the academia of history education is the point where the current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description diverges. Despite the ongoing academic debate, “Jeongho and Baekjeong” remains to be reflected in the learning materials because they demonstrate the pluralistic social structure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Dynasty. The possibility of upward mobility of “Jeongho and Baekjeong” shows the class differentiation within the Yangin case of Goryeo. This reveals that the Goryeo society operated under a more open and flexible class system than the ancient Silla society in which individuals’ class status was determined solely based on their blood.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replace the terms such as ‘middle class’, which has been used in the past, with ‘jeongho’, in order to resolve the ambiguity of the term.As a result of reviewing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the criteria of textbook analysis for “category and characteristics of Jeongho” were set as “whether there is the term and concept for ‘Jeongho’” and “whether the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society are re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iculum analysis.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textbook is conscious of the academic debate of “Jeongho and Baekjeong”, the possibility of controversy over the theme of “Jeongho” was set as the analysis standard. The four set analysis criteria are to examine whether ‘Jeongho and Baekjeong’ ar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textbook description as learning elements that show the social image of Goryeo. Focusing on thi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in the current nine high school textbook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cription patterns of “Jeongho and Baekjeong” in all nine types were not appropriate. It was intended to supplement the incomplete textbook description and implement it as a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newly established purpose and learning effect of ‘Jeongho and Baekjeong’.The ‘Argument Learning Plan using the issue of ‘Jeongho and Baekjeong’’developed by this study combines the historical ideas of the time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and the various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controversy. This course activity consists of five steps which are Recognition of Issues – Reading Historical Texts - Participation in the ‘historians’ Arguments’– Sharing Opinions – Solving Central Questions'. In the ‘Recognition of Issue’ stage, students are encouraged to recognize the controversial issues of “Jeongho and Baekjeong” through conflicting textbook descriptions, and in “Reading Historical Texts" stage, students read the historical texts of Son Soon-heung, who became Jeongho from Baekjeong, and come up with their own historical stanc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historian's debate by confirming the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s of the textbooks which vary depending on the historian's interpretations. These learning activities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interpreting one historical fact and concept from various angles and logically establishing your views based on evidence. Furthermore, i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facts and the 'controversy', which is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history.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2018 고시)에 새롭게 도입된 학습 요소 ‘정호와 백정’의 학계 논쟁을 역사학습으로 연장하여 교수·학습에 활용 가능한 논쟁 학습 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호와 백정’은 최신 학계의 연구 성과가 반영된 것으로 하나의 통설로 정리되지 못한 채 교육과정으로 넘어와 실제 수업 현장에 혼란을 주는 요소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정호와 백정’이 전근대사 학습량 축소에도 불구하고 신설된 배경과 의의에 주목하였고 이를 역사학습에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호와 백정’과 관련한 학계의 논쟁을 짚고 교육과정에 도입된 배경을 분석하였다.‘정호와 백정’과 관련한 학계의 논쟁은‘정호’의 범주 설정과 관련한다. ‘정호’의 범주를 양인의 지배층 전체로 설정하는 측과 양인의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에 존재한 계층으로 범주를 설정하는 측으로 나뉜다. 이러한 학계의 논쟁 지점은 곧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서술의 편차가 발생하는 지점이다. 학계 논쟁이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정호와 백정’이 학습 요소로 반영된 연유는 고려시대 다원적 사회 구조와 사회적 특성을 보여주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정호와 백정’의 신분 상승 가능성은 고려 양인 내의 계층 분화를 보여준다. 이는 혈통을 근간으로 신분을 제약받았던 고대 신라 사회보다 고려 사회가 개방적이고 유연하게 신분제를 운영했음을 드러내는 지점이다. 또한, 종래에 사용한 의미가 모호한 ‘중간계층’과 같은 계층용어를 ‘정호’로 대체할 필요가 있었다. 학계 연구 추이를 검토한 결과로 ‘정호의 범주와 특성’을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호’ 용어 및 개념 유무’와 ‘고려 사회 구조적 특성’을 교과서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추가로 교과서가 ‘정호와 백정’의 학계 논쟁을 의식해 서술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정호’를 주제로 한 논쟁 가능성’을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설정한 분석 기준 4가지는 ‘정호와 백정’을 고려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학습 요소로서 교과서 서술상에서 적절히 구현하고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함이다. 이를 중심으로 현행 9종 고등학교 『한국사』 서술을 검토한 결과, 9종 모두 ‘정호와 백정’ 서술 양상이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미진한 교과서 서술을 보완하고‘정호와 백정’의 신설 목적과 학습 효과를 살려 학습 방안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본 연구가 개발한 ‘‘정호와 백정’ 쟁점을 활용한 논쟁 학습 방안’은 사료를 기반으로 한 당대의 역사상과 논쟁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해석이 결합한 방식이다. ‘쟁점 인식 – 사료 읽기 - ‘역사가의 논쟁’ 참여 – 견해 공유 – 중심 질문 해결’ 단계를 취한다. 쟁점 인식 단계에서는 상반된 교과서 서술을 통해 ‘정호와 백정’의 논쟁 쟁점을 인식하고 사료 읽기 단계에서는 백정에서 정호가 된 손순흥의 사료를 독해하며 당대의 역사상 속에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한다. 교과서 서술상의 차이를 역사가의 해석에서 다시금 확인하며 역사가의 논쟁에 참여한다. 이러한 학습 활동은 하나의 역사적 사실, 개념을 다각도에서 해석하고 근거를 기반으로 자신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정립해가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한다. 나아가 역사적 사실의 담론적 특성과 역사학의 특성인 ‘논쟁성’을 이해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