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퍼빙과 애착안정성의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ubbing and attachment stability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어머니의 퍼빙
애착안정성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의 새로운 현상인 어머니의 퍼빙이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3~5세 자녀를 양육하는 201명의 어머니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퍼빙은 Chotpitayasunondh와 Douglas (2018)가 개발한 척도를 김민범, 최재광, 송원영(2022)이 번안하여 한국판으로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판 퍼빙 척도(Korean Phubbing Scale; PS-K)로 퍼빙 행동과 퍼빙 경험 두 가지 척도 중 퍼빙 행동 척도만 사용하였다.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척도는 최혜란(2018)이 개발한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검사 척도를 사용하였고, 애착안정성 척도는 Armsden과 Greenberg(1987)의 IPPA를 수정한 개정본 IPPA-A를 옥정(1998)이 번안하고, 양애경(2006)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퍼빙과 애착안정성의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검증 절차에 따라 3단계 매개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인식한 어머니의 퍼빙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대체로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졌고, 애착안정성도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퍼빙,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애착안정성은 어머니의 연령, 학력, 직업, 자녀의 수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퍼빙이 높을수록 애착안정성과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은 낮게 나타났고,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애착안정성은 높게 나타나 세 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어머니의 퍼빙과 애착안정성의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어머니 스스로 자신의 퍼빙 행동을 인지하는 것을 시작으로 자녀와 긍정적이고 질 높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애착안정성을 높임으로 자녀가 내면적, 외면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on the impact of mother's phubbing, a new phenomenon in modern society, on attachment secu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mothers raising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 research tools were as follows. Mother's phubbing behavior and phubbing experience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Phubbing Scale (PS-K),  a scale  developed by Chotpitayasunondh and Douglas (2018), adapted by Kim Min-beom, Choi Jae-gwang, and Song Won-young (2022) and verified for validity. Of the two scales, only the phubbing behavior scale was used. The mother-child interaction scale used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test scale developed by Choi Hye-ran (2018), and the attachment security scale used the IPPA-A, a revised version of Armsden and Greenberg's (1987) IPPA, Okjeong (1998). This adap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scale by Yang Ae-kyung (2006)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s of the measured variables, and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Lastly, in order to verify whether mother-child interaction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hubbing and attachment security, a three-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according to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1986), and mediation was found. To verify the effect, a sobel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endenc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the mother's perceived phubbing was found to be higher than average. Mother-child interaction was generally positive at a higher level than normal, and attachment security was also found to be higher than normal. Second, mothers' phubbing, mother-child interaction, and attachment secur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mothers'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number of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higher the mother's phubbing, the lower the attachment securit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 higher the mother-child interaction, the higher the attachment security, and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Fourt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hubbing and attachment security was confirmed.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help children grow healthily internally and externally by starting with mothers recognizing their own phubbing behavior and increasing attachment security through positive and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