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 패턴 및 동기 분석 : 제조 산업, 서비스 산업 그리고 세계 금융위기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atterns and motivations of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Korea: Focusing on the manufacturing, service industry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외국인직접투자
금융위기 전후
Analytical AMNE
Language
Korean
Abstract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 패턴 및 동기 분석 제조 산업, 서비스 산업 그리고 세계 금융위기를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외국인직접투자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패턴의 특 징 중에 하나는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제조 산업의 비중보다 높아지고 있다 는 것이다. 제조 산업이 주도적이었던 전통적인 FDI의 구조는 2000년대 초 반부터 서비스 산업의 FDI 의 비중이 제조 산업의 비중을 추월하였고, 서비스 산업 FDI 의 부가가치 창출 비중 역시 제조 산업 FDI 의 비중을 추월하 기 시작했다. 따라서 서비스 산업 FDI 가 FDI 유치국의 고용 창출 및 글로 벌 경쟁력 강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 하나의 특징은 국제경 영 환경변화 및 글로벌 가치사슬의 재편을 촉진시킨 2008 년도 선진국발 글 로벌 금융위기는 서비스 산업 중심의 FDI 패턴과 FDI 동기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한국 정부도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한편 서 비스 부분으로의 외국인직접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의 외국인직 접투자를 서비스 산업과 제조 산업의 부가가치 창출액으로 비교 분석하여,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정부가 서비스 산업의 외국인직접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둘째, 한국 제조 산업과 서비스 산업의 외국인직접투자의 동기를 선진 국발 금융위기 전후 (2005년-2010년과 2011년-2016년)의 변화를 분석하 여, 정부의 정책 수립뿐만 아니라 다국적 기업들의 외국인직접투자 전략 수 립과 국제경영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외국인직접투자 통계는 투자국과 투자대상국 사이의 금융의 흐름 만 반영할 뿐 다국적 기업이 현지에서 창출한 부가가치에 대한 정확한 측정 이 어려웠다. 본 연구는 OECD 가 2018 년에 발표한 Analytical AMNEs(Analysis of MNEs) 통계 데이터에서 정리한 다국적 기업 국내 판매 와 수출을 더한 해외자회사 부가가치 창출금액을 외국인직접투자의 효과로 보고 종속변수로, 시장추구형(Market seeking), 자원추구형(Resource seeking), 효율추구형(Efficiency seeking), 전략적 자산추구형(Strategic asset seeking) 투자 동기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패널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산업별, 연도별 차이를 보고자 금융위기 이후 2010 년을 전후로 제조 산업과 서비스 산업 동기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시장추구형 동기는 한국 제 조 산업, 서비스 산업 FDI 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원추구형 동기는 한국 제조 산업, 서비스 산업 FDI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효율추구형 동기는 한국 제조 산업, 서비스 산업 FDI 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 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략적자산 추구형 동기 역시 한국 제조 산업, 서비스 산업 FDI 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 산업에 더 큰 영향을 미 쳤다. 그리고 자원추구형 동기를 제외한 제조 산업과 서비스 산업의 시장추 구형, 효율추구형, 전략적자산 추구형 동기의 차이는 모두 2005 년-2010 년 보다 2011 년-2016 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정부가 한국 내에서의 고용 창출과 부가가치를 보다 많이 창출할 수 있는 FDI 를 유치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필수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외국인직접투자 동기, 금융위기 전후, Analytical AMNE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pattern worldwide is that the proportion of the servic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has increased.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FDI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was dominant. However, the proportion of the service industry overtook tha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from the early 2000s, and the amount of added value by FDI from the service industry also began to overtake that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refore, the FDI in the service industr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creating employment and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host country.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originating from developed countries, which promote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management environment and the reorganization of global value chain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patterns and motivations of FDI centered on the service industry. In this global business environment, the Korean government also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industry, creates condition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and works actively to attract FDI in the service sector.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industr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that attracts the FDI in the service industr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DI in Korea based on the amount of added value generated by servic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Second,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in the motivation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s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originating in developed countries (from 2005 to 2010 and from 2011 to 2016).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tilized to establish government policies, develop foreign direct investment strategies for multinational companies, and support international management researchers. Existing statistics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only reflect financial flows between investing countries and target countries,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added value that multinational companies generate locally. In this study, a pane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mount of value-added value generated by foreign subsidiaries as dependent variables, a total of domestic sales and exports by a multinational company compiled from MNES (Analysis of MNES) statistics published by the OECD in 2018. The motivations of FDI, such as market-seeking, resource-seeking, efficiency-seeking, and strategic asset-seeking,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were analyzed by period around 2010 after the financial cris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y industry and year.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indicated that the market-seeking motivation had a positive (+) impact on FDI both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had a greater impact on the service industry. Second, the resource-seeking motivation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FDI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ird, efficiency-seeking motivation had a positive (+) impact on FDI in Korea's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had a greater impact on the service industry. Fourth, the strategy-seeking motivation also had a positive (+) impact on FDI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a greater impact on the service industry. Lastly, the differences in the market-seeking, efficiency-seeking, and strategy-seeking motivations, except the resource-seeking motivation,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were all higher from 2011 to 2016 than from 2005 to 2010. It implies tha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ould be an essential resource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develop policies to attract FDI that can generate more employment and added value in Korea.Keyword: Motivations of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Financial Crisis, Analytical AM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