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종 종계 계통 간 교배조합 시험에 따른 신품종 토종 실용산란계 생산
Production of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ommercial Layer Using Crossbreeding among Native Chicken Breeder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가금학회지, 50(4), pp.203-212 Dec, 2023
Subject
축산학
Language
한국어
ISSN
2287-5387
1225-6625
Abstract
본 연구는 산란능력이 우수한 토종 실용산란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토종 종계 4계통(YC, YD, CK, CF)을 이용하여 이면 교배조합 검정시험(diallel crossbreeding test)을 실시하였다. 능력검정은 6개 조합의 312수를 대상으로 발생 후부터 60주령까지 생존율, 체중, 초산일령, 난중, 산란율 및 난질을 조사하고, 이들의 생산능력 및 결합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조합의 평균 생존율은 77.1±18.8%이고, 조합 중 YDYC조합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YCCF조합의 생존율이 가장 낮았다. YDYC조합의 경우, YD와 YC계통 간의 특정결합능력이 특히 우수하였다. 체중은 모든 측정 주령에서 조합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 기간 YDYC조합의 자손이 다른 조합의 자손들보다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1). 평균 초산일령은 121.3±2.5일로 조합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주령부터 60주령까지 전체 조합의 평균 일계산란율은 74.0±6.4%이었고, 산란지수는 181.4± 33.8개로 일계산란율은 조합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조합 중 YDCF 및 YCCK조합의 산란 성적이 가장 높았고, YDYC 및 CKCF조합이 가장 낮았으며, 이들의 성적은 일반결합능력보다 특정결합능력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중은 측정 시점 모두에서 조합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YDYC조합의 난 중이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난각색, 난각 두께, 난각 무게 모두 조합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P<0.01), 난각색은 YDYC조합의 달걀이 가장 짙었고, 난각 두께는 YDCF조합이 가장 두꺼웠다. 내부 난질은 조합 간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색은 YDCF조합이 가장 짙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란 능력을 바탕으로 최적의 토종 실용산란계를 선정시 산란율이 우수하면서 생존율이 높은 YCCK조합과 산란율이 우수하면서 상대적으로 난질이 양호한 YDCF조합이 가장 바람직한 조합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diallel-crossbreeding test using four Korean native chicken parent stock lines (YC, YD, CK, and CF) to develop a native commercial layer with high egg-laying performance. A total of 312 chickens in six combinations were examined for various traits, including livability, body weight, age at first egg-laying, hen-day, and hen-housed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egg quality, from hatching to 60 weeks of 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urvival rate was 77.1±18.8% with the YDYC combination having the highest survival rate along with excellent specific combining ability. The YDYC combination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body weight compared to the other combinations (P<0.01). The average age at first egg-laying was 121.3±2.5 day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binations. The average hen-day egg production was 74.0±6.4%, and the hen-housed egg production was 181.4±33.8 eggs with the YDCF and YCCK combinations demonstrating the highest laying performance, while the YDYC and CKCF combinations had the lowest (P<0.05). Laying performance was more influenced by specific combining ability than general combining ability. The eggs from the YDYC combination were significantly lighter and had the darkest shell color (P<0.01), whereas the YDCF combination exhibited the thickest eggshel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rnal egg quality among combinations, except the YDCF combination had the darkest yolk color. Overall, we concluded that the YCCK combination, characterized by high laying performance and livability, and the YDCF combination with high laying performance and good egg quality are the most desirable combinations for Korean native commercial 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