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육수업 분노 상황지각, 조절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The 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cale perceiving and regulating the anger situ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3(2), 67, pp.85-101 Aug, 2018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1229-9685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students' ability to perceive and control ange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how well they control their anger when they are in the situation. Method: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was divided into a scale development stage and a validation stage. In the scale development stage, the situation of anger was extracted from the situations of the opponent 's foul, colleagues' smile, teacher' s favoritism, team disagreement, arbitrary play, playground class in hot weather, low performance scores, and unfair judgme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anger content analysis physical education class( Kim, Li, & Lee). In order to measure the anger perception intensity of the respondents, the facial expressions of anger, sadness, disgust, fear, and happy were presented with the intensity of 0%, 20%, 40%, 60%, 80%, and 100% using Abrosoft FantaMorph program. Emotional regulation has been proposed to answer three types of anger suppression, anger expression, and anger regulation. In the preliminary survey, 190 respondents were asked to respond, and frequency analysis,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foul of the opponent, favoritism of the teacher, disagreement of the team and unfair judgment were finally selected. The final scales were answered by 1,17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by gender, school class, and exercise type after school. Results: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nger perception and anger intensity than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emale in the anger situation-facial expression match. Except for unfair judgment situation, in school level, the remainder of the situ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school level and the anger intensity and situation-expression match. In the comparison of exercise type after school,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eam sport showed the highest anger situation-expression match in unfair judgment and the favoritism of the teachers. In the team disagreement, the team sports showed higher anger intensity than the other sports. Conclusion: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vali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체육 수업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분노상황을 얼마나 잘 지각하고, 분노 상황에 처했을 때 자신의 분노를 얼마나 잘 조절 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를 척도 개발 5단계를 크게 척도개발단계와 타당성 검증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척도개발단계에서는 상대방의 반칙, 동료들의 잘난 척, 교사의 편애, 팀 불화, 단독 플레이, 더운 날씨의 운동장수업, 낮은 수행평가 점수 및 불공정 한 판단의 상황을 추출했다. 분노 상황은 체육수업에서 분노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석 하였다. 응답자의 분노 지각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분노, 슬픔, 혐오감, 두려움 및 행복감의 표정을 Abrosoft FantaMorph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0 %, 20 %, 40 %, 60 %, 80 % 및 100 %의 강도로나타냈다. 감정 조절은 분노 억제, 분노 표현, 분노조절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제시되었다. 예비 조사에서 190 명의 응답자가 응답하도록 요청 받았고 빈도 분석, 변별도와 난이도가 계산되었다. 빈도 분석 결과에서 상대방의반칙, 교사의 편애, 팀의 불화 및 불공정 한 판정이 선택되었다. 최종 척도는 1175 명의 초·중·고학생의 응답자료로 성별, 학교 등급, 그리고 방과후 운동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했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들보다 분노 상황지각과 분노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남학생은 분노 상황-표정 일치에서 여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불공정한 판단을 제외하고, 학교 수준에서, 나머지 요인들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분노강도와 분노 상황-표정일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운동 유형 비교에서 팀 스포츠에 참여한 학생들은 불공정한 판정과 교사의 편애에 대한 분노 상황-표정일치가 가장 높았다. 팀 불화에서 팀 스포츠는 다른 스포츠보다 분노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은 이 연구에서 개발 된 척도가 타당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