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지역 일반국도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공간적 영향권 분석 (Variable radius buffer model을 이용하여)
Analysis of Spatial Influential Zone for Road Sign using the Variable Radius Buffer Model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대한교통학회지, 28(2), 119, pp.71-80 Apr, 2011
Subject
공학일반
Language
한국어
ISSN
2234-4217
1229-1366
Abstract
Almost all Driv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local areas usually rely on road signs equipped along the roadways. The road signs in Korea present the name of the city along the driver’s direction. The consistency of guided name on the road-signs is important for drivers. The discordances among road signs frustrate drivers particularly when the drivers are confused with whether or not they are in the right direction. There are several studies focusing on the continuity of information on the road signs. Most of the researches, however, do not suggest the objective way but diagnose present problem.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e evaluate the impact of information on road signs and select the candidat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score and limited number of information. We also suggest the reasonable spatial influence area of road sign information using geo-spatial analysis. From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director in charge of selecting information can make decision reasonably without difficulties of choosing information.
도로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보다 합리적인 정보 제공 및 혼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안내지명의 연계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내지명의 지역적 특성 및 인지도를 반영한 지역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이에 따른 영향권의 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여 합리적인 영향권을 제시하여 안내지명의 연계성을 확보하기위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안내지명을 선정함에 있어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적으로 분석하여 대안을 결정하는 AHP 기법을 적용하여 각 안내지명의 지역적 특성 및 인지도를 반영한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 안내지명의 영향권 반경을 달리 설정하는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최종 영향권 반경을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한 효과 척도로서 영향권 중첩면적과 잔여면적의 합을 이용하여 그 값이 최적이 되는 대안을 최종 영향권 반경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안내지명의 영향권은 안내지명의 중요도에 따라 상이하며 평균적인 영향권의 범위는 중요지 11.4km, 주요지 5.9km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