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여성 농업노동자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aptation of Migrant Women's Agricultural Workers to Korean Life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농촌사회, 31(1), pp.155-202 Apr, 2021
Subject
사회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13-9433
1226-0541
Abstract
Migrant women agricultural workers are a very necessary workforce in our rural areas. However, it is excluded from social interest.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deals with the adaptation of Korean life to migrant women's agricultural workers, who are in multilayered difficulties as migrants, women, and agricultural workers. The main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in-depth interviews with 19 migrant women working on farms in Gyeonggi Province in September and October 2019. These women are from an Asian agricultural country that has no university education and have come to Korea to get a job with high wage levels for the economic care of their families. They were engaged in long hours of hard agricultural labor in the heat and cold in Korea's rural areas, and the payment of allowances for excess working hours was not kept at the agricultural site. There is a sexual violence problem on the farm, maternal protection is not observed, and they live in containers or vinyl houses. Despite such unfair treatment, they were enduring to work in Korea, where the wage level was high. However, they protested privately against any unfair treatment, and also resolved the problem through negotiations with the farm owner on housing issues. Due to international migration, family life was maintained in a transnational form. In the region, he was adjusting to the Korean situation by making social networking with his native country. In the future, our society needs leg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s on the issue of working hou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issue of guaranteeing migrant workers' reproductive rights, and the issue of migrant workers' family partnership. And policy attention is needed to support migrant workers' social networks.
이주여성 농업노동자는 이제 우리 농업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지만, 이들은 철저하게 사회적 관심에서 벗어난 대상이다. 본 연구는 이주민이자 여성이자 농업부문 종사자라는 중층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는 이들 이주여성 농업노동자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방법은 심층면접으로2019년 9월과 10월에 경기도 일대의 농장에서 일하는 19명의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대학교육을 받지 못한 아시아의 농업 국가 출신 여성으로서 가족의 경제적 돌봄을 위해 임금수준이 높은 한국에 취업을 목적으로 왔다. 이들은한국의 농촌에서 무더위와 추위 속에서 장시간의 고된 농업노동을 하고 있으며, 농업 현장에서는 초과한 노동시간에 따른 수당 지급이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농장에서의 성폭력 문제는 간과할 수 없는 수준에 와 있고, 모성보호는 사각지대에 있으며, 주거는 컨테이너나 비닐하우스가 숙소로 활용될 정도로 열악한 수준이다. 크고작은 부당함에도 대부분은 임금수준이 본국보다 월등히 높은 한국에서 살아남기위해 참고 일하고 있었다. 그러나 어떤 부당한 대우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저항을통해 바로잡았고, 주거문제에 있어서 농장주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였다. 국제이주로 인해 초국적 형태로 가족생활을 유지해 나가고 있으며, 지역에서는 본국인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통해 한국현실과 타협하며 적응하고 있었다. 향후우리 사회에서는 농업 분야 노동시간 문제, 이주노동자의 재생산권 보장 문제, 그리고 이주노동자의 가족동반 문제에 대한 법적・제도적 논의가 필요하며,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관계 지원에 관한 관심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