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정복지센터 범죄예방설계 인증기준의 중요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CPTED Certification Criteria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9(3), 413, pp.75-83 Mar, 2023
Subject
건축공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33-6247
2733-6239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out to improve and utilize the CPTED certification criteria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from theperspective of the necessity of crime preven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CPTED research.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theCPTED certifica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urrently applies the criteria of apartment complexes, and the weight of each item wasarbitrarily set, which caused a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certification criteria were revised to 42 items in 4 areas by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users. And, the importance of areas and detailed items was calculatedthrough expert surveys in the architecture and police administration fields. As a result of AHP analysis, it was found that "safety facilitiesand buildings" are important, and "outdoor space and boundary of site" are relatively less important. Among the 42 detailed items, theimportance of surveillance principle was very high, such as CCTV and lighting installation in underground parking lots, visual contactunderground parking lots, and in childcare facilities and playgroun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items reflecting the principle of accesscontrol was high in the vehicle entry space at the site boundary, work space (including cores), low-use rooftop floors, basement andconnection points, and exterior walls of the building.
본 연구는 범죄예방의 필요성 및 CPTED 연구 범위 확대의 관점에서, 행정복지센터의 CPTED 인증기준 개선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문헌 고찰 결과 현재 행정복지센터의 CPTED 인증은 아파트 단지의 기준을 응용하고 있으며, 항목별 가중치도 임의로 설정되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행정복지센터 및 이용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인증기준을 4개 영역 42개 항목으로 수정하였고, 건축과 경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통해 영역 및 세부 항목의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AHP 분석 결과 ‘안전시설과 건물’이 중요하고, ‘외부공간과 대지 경계’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2개 세부 항목 중에서는 ‘지하 주차장의 CCTV 설치, 지하 주차장의 조명설치, 지하 주차장 코어의 시선 연결, 지하 주차장 내부의 시선 연결, 보육시설 놀이터 및 보육 공간의 시선 연결’ 등 감시 원리가 반영된 항목의 중요도가 매우 높았다. 그리고, 대지 경계부의 차량 출입 공간과 보안이 필요한 업무 공간(코어 포함), 이용이 적은 옥상층 및 지하실과 연결 지점, 건물 외벽에서는 접근통제 원리가 반영된 항목의 중요도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