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재래계와 백색 레그혼 토착종의 주요 경제형질간 상관관계 비교
A Comparison of Correlation on Major Economic Traits of Korean Native Chicken and Korean White Leghorn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7(1), pp.105-111 Mar, 2015
Subject
농학
Language
한국어
ISSN
2287-8165
1225-8504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rrelation on major economic traits atgrowing and laying stage for Korean Native Chicken and Korean White Leghorn. Total number ofchicks analyzed in this study was 110 and divided by Korean Native Chicken (A, B) and Korean WhiteLeghorn (C, D). The days at first egg in Korean Native Chicken was 155 days which was 16 days longerthan those of Korean White Leghorn (p < 0.05). Egg weight at first egg in Korean White Leghorn was42.68 g which was heavier than those of Korean Native Chicken to be 35.04 g (p < 0.05). Egg weight at270 days of age in Korean White Leghorn was also 12.93 kg heavier than those of Korean NativeChicken (p < 0.05). Th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n increased amount of shanklength and body weight gain were 0.61 ~ 0.66 from 0 ~ 4 weeks of age through 0 ~ 12 weeks of age inKorean Native Chicken and were 0.60 ~ 0.77 from 0 ~ 4 weeks of age through 0 ~ 8 weeks of age inKorean White Leghorn. Th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body weight gain, age at firstegg, egg weight at 270 days of age, or shank length were highly positive until 0 ~ 12 weeks of age inKorean Native Chicken and were also highly positive until 0~8 weeks of age in Korean White Leghorn.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ge for indirect selection on hens should be at 12 weeks of agefor Korean Native Chicken and at 8 weeks of age for Korean White Leghorn. Overall performanceduring growing and laying stage in Korean Native Chicken was somewhat less than those of KoreanWhite Leghorn. However, each of them has their own characteristics as native genetic resources andshould be appli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of a native genetic resource.
본 시험은 우리나라 고유의 특성을 지닌 한국 재래계와 도입되어 토착화된 백색 레그혼의 육성기 성장능력과 산란기 경제형질을 비교하고 이들의 표현형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한국 재래계 2 계통(A, B)과 백색 레그혼토착종2 계통(C, D)으로 총 4 계통의 육성 단계별 증체량, 정강이 길이 증가량, 시산 일령, 난중 등을 조사하였다. 한국 재래계의 시산 일령은 백색 레그혼 토착종 보다 16일 늦은 155일로 조사되었다(p < 0.05). 백색 레그혼 토착종의 시산시 난중은 42.68 g으로 한국 재래계 35.04 g 보다 높게 조사되었고(p < 0.05), 270일령 난중도 한국 재래계 보다 12.93 g 무겁게조사되었다(p < 0.05). 한국 재래계의 육성기 성장능력과 산란기 경제형질간 표현형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0 ~ 4주령 부터0 ~ 12주령 까지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증가량간의 상관계수는 0.61 ~ 0.88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증체량과 시산 일령, 270일령 난중과도 0 ~ 12주령 까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강이 길이 증가량과 270일령 난중에서도 0 ~ 12주령 까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백색 레그혼토착종의 육성기 성장능력과 산란기 경제형질간 표현형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0 ~ 4주령 부터 0 ~ 8주령 까지의 증체량과정강이 길이 증가량간의 상관계수는 0.60 ~ 0.77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증체량과 시산 일령, 270일령 난중과도 0 ~ 8주령 까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강이 길이 증가량과 시산 일령 에서도 0 ~ 8주령 까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성장능력과 주요 경제형질과의 표현형상관관계를 고려해 한국 재래계는 12주령에, 백색 레그혼 토착종은 8주령에 간접 선발이 가능할 거라고 사료된다. 종합적으로 한국 재래계의 육성기 성장능력 및 산란기 경제형질은 백색 레그혼 토착종과 비교하여 다소 낮게 조사되었지만, 각 품종의 고유 특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한국 재래계와 백색 레그혼 토착종의 고유 특성들은 우리나라고유 유전자원 활용에 있어 표준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색인어 : 한국 재래계, 백색 레그혼 토착종, 상관관계, 성장능력, 경제형질).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