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재래계와 도입계의 육성기(0 ~ 20주령) 성장 능력 비교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at Rearing Stage between Korean Native Chicken and Imported Chicken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6(4), pp.568-573 Dec, 2014
Subject
농학
Language
한국어
ISSN
2287-8165
1225-8504
Abstract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rowth performance at rearing stage betweenKorean native and imported chickens. One hundred eighty chickens were used in this work and dividedby strains (A, B and C) and sex (male and female). Three strains including 1 Korean native strain: A(Korean Native Yellowish Brown) and 2 imported layer strains: B (White Leghorn) and C (Araucana)were used to analyze the following traits such as viability, body weight at a different growing stage, average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ratio, and shank length at a different growing stage. The viabilitywas excellent in strain C to be more than 98% and was low in strain B to be 83.33% during a wholeweek. The strain A had a great performance on body weight during growing stages (p < 0.05). The shanklength of strain B was the highest value to 70.06 ± 8.48 mm at 20 weeks of age (p < 0.05). These resultssuggested that although the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 was less than those of importedchicken, Korean native chicken has own characteristics as a native livestock. And these results shouldprovide the criteria of performance for Korean native chicken.
본 시험은 한국 재래계와 도입계의 육성기(0 ~ 20주령) 성장능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가축유전자원 관리기관에서 종란을 인수하여 부화시킨 암수 병아리180 수를 이용하였으며, 한국 재래계 1 계통(A)과 도입계 2계통(B, C)으로 총 3 계통의 육성률, 육성단계별 체중, 증체량,사료 요구율, 정강이 길이 등을 조사하였다. 육성 초기(0 ~ 4주) 육성률은, A와 C계통은 98.33%로 높게 나타났으나, B계통은 91.67% 로 낮게 나타났다. 육성기 전 주령(0 ~ 20주)육성률도 C계통이 98.33%로 높게 조사 되었고, B계통이 83.33%로 낮게 조사되었다. 육성기 전 주령의 체중은 A, B계통이 C계통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p < 0.05). 한국 재래계통인 A계통은 발생 시에는 체중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지만, 20주령에는 1.64 kg으로 가장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계통간 사료 요구율은 0 ~ 8주령에서 C계통이 가장 높았고(p<0.05),12 ~ 16주령에서는 B계통이 가장 높았으며(p < 0.05), 0 ~ 20주령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 > 0.05). 육성 단계별 정강이길이를 살펴보면, 0 ~ 12주령까지 B계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6 ~ 20주령에서는 B와 C계통에서 높게 나타났다(p < 0.05). 마지막으로 계통간 정강이 길이 증가량은 0 ~ 8주령까지 B계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8 ~ 16주령까지는 C계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이 한국 재래계의육성기 능력이 도입계에 비하여 다소 낮게 조사되었지만, 한국 재래계 고유 특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한국 재래계의 고유 특성들은 한국 재래계 활용에 있어 기준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색인어 : 한국 재래계, 도입계, 육성기, 체중, 정강이 길이).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