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업단지 유형별 특성분석을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 - ʻ산업단지 활력지수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Industrial Complexes using Vital Index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지역연구, 27(4), pp.177-200 Dec, 2011
Subject
국제/지역개발
Language
한국어
ISSN
1225-0740
Abstract
Industrial complexes, albeit historically important in national economy, show a lower level of competitiveness than that of the international innovative clusters in general.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various means of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industrial complexes using vital index and the concept of outputs through inputs (innovative potentiality) and infrastructure. On one hand, the U-shape result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nputs and infrastructure dimension graph suggests that building infrastructure is necessary to raise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higher level of innovative potentialit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potentiality and infrastructure in local industrial complexes. Therefore,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policies in the policy matrix with the analysis on the four different types of industrial complexe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For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t seems that there is a priority on short-term policies such as measures to reinforce human capital for type II, improve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for type III and supply low priced land for type IV. Meanwhile, suggested short-term policy measures for local industrial complexes include the reinforcement of industrial agglomeration for type II and the improvement of land-use for type IV. Finally, the mid-term and long-term policies for each type of industrial complexes are proposed in this paper.
산업단지는 국민경제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지만 해외 혁신클러스터와의 비교에서는 매우 낮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산업단지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ʻ산업단지 활력지수ʼ를 도입하고 경쟁력의 개념을 ʻInput(혁신잠재력) 및 Infra(기반인프라) 계열 지표들의 개선을 통한 Output계열 증대ʼ로 규정하여 4개 유형별 활력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국가산업단지는 ʻU자형ʼ 추세를 보여 경쟁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일반산업단지의 경우는 ʻtrade offʼ 관계로 혁신잠재력이 우수한 단지는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열악하여 상호 반비례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수도권 또는 지방 대도시 소재의 많은 단지들이 혁신잠재력은 높은 반면 인프라는 낮은 유형Ⅳ에 포함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지들이 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과제 매트릭스를 작성함으로써 유형별 단기 및 중장기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국가산업단지의 시급한 정책과제로는 인적 자원 강화(유형Ⅱ), 교통접근성 개선(유형Ⅲ), 단지 공급가 개선(유형Ⅳ) 등으로 나타났고, 일반산업단지의 경우는 산업집적 강화(유형Ⅱ), 토지 활용도 개선(유형Ⅳ)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업단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유형별 단기 및 중장기 정책과제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