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 페미니즘, 여성가족부, 여성혐오
State Feminism,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sogyny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미디어, 젠더 & 문화, 34(1), pp.209-254 Apr, 2019
Subject
신문방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33-8355
1738-2483
Abstract
Through the analyzation of the legacy media reporting methods,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the phenomenon which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s accused from the Blue House National Petition and from multiple male chauvinistic sites as cause of gender conflict and to find the bases of the negative social percep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124 reports between the 2016 Gangnam woman murder incident and the 2018 MeToo movements were analyzed from both conservative and liberal news outlets. Also, in order to observe the press evaluation and its standards of the head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terview reports between 2001 January 1st and 2018 May 31st were search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quoted in three different ways; The sole subject or co-principal of solving the sexual assault issue, or only mentioned. The content of reports consist of three characterizations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represented more negatively by conservative media; As selfish or the subject that causes gender conflict, as an incompetent subject, or as generally without meaningful presence. Both conservative and liberal medias showed a tendency to summon the Ministry or the minister as an easy topic in political debates. In the minister’s interview the minister is placed within the family relation dynamic and is evaluated by gender-oriented standards prior to her professionalism.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legacy media does not observe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s of its system nor the limitations of state feminism but focuses on the results and negative performance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argues that such portrayal based on gender politics reinforces the gender-biased order.
이 연구는 여성가족부가 청와대 국민청원 및 각종 남초 사이트에서 남녀갈등의 주범으로 공격받는 현상에 주목하며 기성 언론의 여가부 보도 분석을 통해 여가부 를 향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의 토대를 찾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2016년 강남역 여성살인 사건부터 2018년 미투운동 기간 동안 성폭력 보도에서 드 러나는 여가부의 미디어 재현양상을 파악하고자 보수성향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진보성향의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을 대상으로 총 124개의 기사를 모아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가족부 장관에 대한 언론의 평가 내용과 평가 기준을 살펴보기 위해 2001 년 1월 1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 여가부(여성가족부) 장관의 인터뷰 기사를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폭력 사건 보도에서 여가부가 기사에서 인용되는 방식은 성 폭력 문제 해결의 단독, 혹은 공동주체, 단순 언급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여 가부를 성폭력 문제 해결의 주체로 호명하는 기사들 가운데 특히 보수언론의 기사 들이 이기적이거나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주체/무능력한 주체/ 존재감 없는 주체 로 여가부를 부정적으로 재현하는 경향이 있으며 보수와 진보 언론 모두 정치적 논 쟁의 손쉬운 소재로 여가부나 여가부 장관을 소환하는 경향을 보임을 발견하였다. 여가부 장관의 인터뷰에서는 장관의 전문성에 앞서 육아/외모(여성성)/가족관계 속에 여성장관을 위치지우며 젠더화된 기준으로 여가부 장관을 평가하는 것을 발견하였 다. 이 연구는 성폭력과 관련한 기성 언론, 특히 보수언론의 여가부 보도가 여가부가 위치한 행정 조직 체계의 특성이나 국가 페미니즘의 한계 등, 활동을 제한하는 구조적 원인을 살피는 대신 결과로서의 부정적인 업무 평가에 집중하고 있음을 지 적한다. 나아가 이러한 여가부의 젠더정치적 재현이 성차에 따른 젠더위계질서의 재 생산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