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교우관계 간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Longitudinal Reciprocal Causalities among Korean Proficiency, Self-Esteem,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Peer 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교육심리연구, 37(1), pp.1-28 Mar, 2023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13-7791
1225-4290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교우관계의 변화양상과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청소년 패널(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자료 중 1차년도(초4)부터 5차년도(중2)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교우관계는 이전 시점이 다음 시점을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과 교우관계,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는 종단적으로 상호인과적인 관계를 갖고 있어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함께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n차 시점의 자아존중감은 n+1차 시점의 교우관계를 매개로 n+2차 시점의 한국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여주어 자아존중감이 다문화 청소년 한국어 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은 일방향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전 시점의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다음 시점의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관해 제언하였다. 교육적 함의 : 다문화 청소년의 교우관계가 이들의 한국어 능력 증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또래 인식 개선 및 또래 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이 긍정적인 교우관계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들의 한국어 능력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증진을 돕기 위한 체계적인 정책과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four variable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proficiency, self-esteem,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peer relationship. To achieve this, the study tested the self-regression cross-delay model using data from the first year (2011) to the fifth year (2015)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The primar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revious data stably predicted subsequent data i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self-esteem,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causal relation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proficiency and peer relationship as well as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hese relationships were found to grow together through reciprocal positive effects. Additionally, the study found that self-esteem indirectly affected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pecifically, self-esteem at the n time-point positively affected Korean ability at the n+2 time-point through the mediation of peer relationship at the n+1.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one-wa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indicated that the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t the previous time-point positively affected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the next time-poi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Educational Impact and Implications : Since peer relationship plays a crucial role in promoting Korean language ability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enhance peer awareness toward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build positive peer relationship. Considering tha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lays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 we should pay attention to foreign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which affects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systematic policy and support for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