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의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 방안 모색을 위한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Need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Operation of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교육연구논총, 44(1), pp.199-231 Feb, 2023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1738-9429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present the role of the university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planned to be fully implemented from 2025. To this end, 156 people in charge of each university, education office, and high school were surveyed for needs,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execution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rough the t-test, and Borich's needs was also derived using the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needs commonly derived by the three institutions. First, there was a high needs for "plan to improve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reform the student evaluation system" as priority tasks to be solved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the task that universities should cooperate to opera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high in needs for "support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and subjects." Third, the needs for "joint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and subjects" was high due to the role and support of universities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Through these results, the connection of the three institutions is important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substantial operation of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especially the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joint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와 고교학점제의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2025년부터 전면 실시될 계획인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한 대학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교육청, 고교 각각의 담당자 또는 관련자 156명을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를 하고 t 검정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유의한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으며,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가 높은 항목을 도출하였다. 다음은 세 기관에서 공통으로 도출된 요구도 결과이다. 첫째,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우선과제로서 ‘대학입시제도 개선방안 마련’과 ‘학생 평가제도 개편’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해 대학이 협력해야 할 과제는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운영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고교학점제의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에서 대학의 역할과 지원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목 공동 개발·운영’에 대한 요구가 높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정착과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세 기관의 연계가 중요하며 특히, 고교학점제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 공동 개발·운영’을 위해 대학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