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산 원자재 공급 사슬 위험 평가 : 국내 방위산업 사례연구 (2011∼2020)
Assessment of Raw Materials Supply Chain Risk: a case study from Korean Defense Industry (2011 to 2020)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무역금융보험연구, 23(4), pp.129-152 Aug, 2022
Subject
무역학
Language
한국어
ISSN
2093-5811
Abstract
Purpose : As the increasing uncertainty of global supply chain by the occurrence of US-China trade war, COVID-19 risk, and Russian invasion of Ukraine, the supply chain risk can threaten national secur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oth risk level and relevant factors and suggest future strategies of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in Korean defense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our study combines literature review for identifying supply chain risk factors related to a defense industry and the risk assessment analysis. Based on supply chain risk indicators (import diversification, country risk, and political distance), we evaluate the risk level of raw materials supply chain in Korean defense industry. For this, the present study collected defense raw materials importation data from Trade Statistics Service (TRAS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e found the following raw materials with high risk levels: Cotton linters pulp (HS 470610), Other instruments and appliances (HS 901480), Pumps (HS 841381), Instruments and appliances for aeronautical or space navigation (HS 901420), Other Screws, bolts, nuts, coach screws, screw hooks, rivets, cotters, cotter-pins, washers (including spring washers) and similar articles, of iron or steel (HS 731829), Aeroplanes and other aircraft, of an unladen weight not exceeding 2,000 kg (HS 880220). Conclusions : The possibility of supply chain vulnerability is more intense when import dependent on a particular exporting country about defense raw materials is high. In this sense, our study is the quantitative study that focus on evaluating the supply chain risk in the defense industry. Thus, the study raises a new need for risk management through assessing risks on raw materials in defense supply structures.
최근 미ㆍ중 분쟁, 코로나19 위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사건 발생으로 전세계적인공급망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공급망 취약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공급망 환경변화에서 국내방위산업은 무기체계 개발에 필요한 핵심부품과 원자재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공급위험이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방위산업에서 공급사슬 위험요소를 분석하여 공급망 관리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전략적 위기 대응이 필요한 접근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방위산업의공급 사슬 위험과 관련된 3가지 주요 지표(시장 집중도, 국가 위험도, 정치적 관계)를 식별하였다. 그리고 해당 지표를 통합한 평가지표를 국내 방위산업용 시설재 및 원자재(이하 방산 원자재)의 최근 10년(2011~2020) 간 국가별 수입현황에 적용하여 공급 사슬 위험도에 취약한 주요품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방산 분야에서 화약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 HS 470610(면 린터펄프)은 저위기술 품목으로 가격경쟁력 확보가 어려워 중국에 대한 시장 집중도가 100% 수준으로 공급 사슬 위험도가 높은 원자재이다. 그 외에 첨단정밀 제조기술이 요구되는 공구ㆍ부품인 HS 901480(기타 항행용 기기), HS 841381(펌프), HS 901420(항공용이나 우주항행용기기), HS 731829(기타 스크루·볼트·너트·코치스크루·스크루훅·리벳·코터·코터핀·와셔 물품), HS 880220(자체 중량이 2,000킬로그램 이하인 비행기와 그 밖의 항공기) 원자재가 대미 의존도가높게 나타났다. 해당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 방위산업의 공급 사슬 위험 대책 마련의필요성을 제기하고, 향후 방산 원자재의 공급망 구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