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존재의 여정에서 경험한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into Non-suicidal Self-injuries Experienced in the Journey of Beings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상담학연구, 18(4), 100, pp.125-148 Aug, 2017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1598-2068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help the participants who tried repeatedly and experienced to cease non-suicidal self-injuries more vivid and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non-suicidal self-injuries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by being the center of the subject of recognition with actual experiences through narrative inquiry.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examined the life stories of participants to understand how they experienced the onset and cessation of self-injuries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of time, society, and place and constructed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and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led a life filled with the pain of loss and agony, being shaken by them, and they spoke to themselves and alleviated their pain by inflicting self-injury onto themselves to endure their internal pain. Self-injury has been a personal communication in their own space without sharing their pain with others and not asking for help. As they renewed the perceptions of social communication, they took still moving toward directing their own point of life. They reevaluate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and categorized with researcher into five topics: ‘a star falls, and I am lost’, ‘tightrope walking in a narrow boundary’, ‘support for my existence’, ‘a life compass’, and ‘a path toward m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ir experiences of non-suicidal self-injuries an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 the contexts of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legitimacy. In addition,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of these study result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반복적으로 시도해왔고, 또한 이를 중단했던 경험을 지닌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실제적 경험을 지닌 인식의 주체가 중심이 되어 자신의 경험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그 과정에서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보다 생생하고도 심층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들의 자해의 시작과 중단은 시간적․사회적․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에 따라 어떻게 경험되는지, 또한 그 경험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삶의 이야기를 통해 탐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은 상실의 고통과 아픔의 시간을 충분히 흔들리며 걸어왔고, 내적인 고통을 견디기 위해 자해를 통해 스스로에게 말을 걸면서 고통을 잠재우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자해는 자신의 고통을 타인과 나누지 않고 도움도 요청하지 않은채 혼자만의 공간에서 행하는 개인내적인 소통이 되었으며, 이후 연구참여자들이 사회적인 소통의 의미를 재인식하면서는 자해를 멈추고 각자 자신의 삶의 지향점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의 의미들을 재평가했으며, 이들과 함께 도출해 낸 비자살적 자해의 시작과 중단에 이르는 경험의 의미는 ‘별이 지고, 길을 잃다’, ‘아슬아슬한 경계에서 외줄타기’, ‘존재의 버팀목’, ‘삶의 나침반’, ‘나에게 이르는 길’이라는 5가지의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자살적 자해의 경험과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상담에 대한 제언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