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우주 굴기’의 정치경제: 우주산업정책과 일대일로의 연계를 중심으로
The Political Economy of China’s Rise in Space: A Nexus between Industrial Policy an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사회과학연구, 28(1), pp.107-129 Mar, 2021
Subject
사회과학일반
Language
한국어
ISSN
1598-8996
Abstract
China’s space industry, especially the commercial sector, has improved bo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This article explores that the development of China’s space industry resulted from the Chinese government’s efforts to link industrial policy and foreign economic policy. At the domestic level, the Chinese government implemented industrial policy targeted at the space industry in a dynamic way. At the external level, the Chinese government adroitly took advantage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as a means to expand foreign markets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pace industry. Based on this premise, I highlight the way in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mobilized various policy tools to transform the space industry and create a new space ecosystem. Second, I examine that the Chinese government’s strategic use of the BRI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ace industry.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BRI Space Information Corridor and Digital Silk Road (DSR) as a means of expanding the Chinese space industry’s overseas expansion. These initiatives helped Chinese space companies, which have secured technology and price competitiveness by preempting the domestic market, successfully secure the overseas space market.
중국 우주산업, 특히 상업 부문은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수준의 향상을 지속해왔다. 이 글은 중국의 우주 굴기는 중국 정부가 국내적 차원에서 우주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정치경제모델을 구축하는 한편, 대외적으로 중국 우주산업이 일대일로를 활용하여 해외 진출을 확대할 수있도록 지원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첫째, 중국의 우주 굴기를 가능하게 한 저변에는 민간 우주산업의 성장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중국 정부가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하여 우주산업의변화를 시도한 결과이다. 둘째,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 특히 일대일로 우주 정보 회랑과 디지털실크로드를 중국 우주산업이 해외 진출을 확대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정부의 지원으로 국내 시장을 선점하여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중국 우주 기업들은 일대일로를 활용하여해외 우주 시장을 확보하는 부수적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