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설화>의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와 영화공간에 대한 고찰
Study of the visual literacy and cinema space in the film 'Seol Hwa'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1), pp.93-103 Jan, 2018
Subject
학제간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2384-017X
1976-6211
Abstract
비주얼 리터러시를 통해 살펴본 <설화>의 프롤로그 분석은 영화에 내재된 공간의 가치기준이‘자아’또는‘주체’와 연관되어 상징적인 표현으로해석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세부적인 장면분석을 통해 우리는 주인공이 버림받은 공간인 동시에 실재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의공간이며, 국가의 지배이데올로기의 통제아래 개인의 주체성을 상실한 공간으로서의‘도시’와‘상처받기 이전의 공간’으로서 아픔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남아있는 곳으로서‘시골’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발견하였다. 색채상징 역시‘도시’는 슬픔과 불안, 상복을 상징하는 검정으로,‘시골’은 결백과 신성을 연상시키는 흰색으로 각각 표현하였고, 그 외 주인공의 감정변화에 따라 어두운 계열의 남색과 주황색, 노란색의 혼합을 사용하였다. 이데올로기적 분석은 라캉이 정신분석학에서 제시했던 세계들을 모티브로 삼아‘도시’는 지배이데올로기와 담론이 지배하는 상징계적 공간이고, 상징계에 존재하는 무의식의 실재계는‘지하도의 계단’으로, 그리고‘시골’은 지배이데올로기의 강압적 호명으로부터 자유로운 상상계적 공간으로 각분석하여 제시해 보았다.
Through visual literacy, the analysis of prolog about film "Seol Hwa"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value of inherent space is interpreted by symbolic expression connected with 'self identity' or 'subject of the film'. By analysing detailed scenes, we found symbolic meanings being contained in places where the hero is abandoned and also the real space in which we live, which is, a 'city' as a place that has lost the subjectivity of individuals under the control of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state, I fou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remaining 'countryside' of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the wound. The color symbol about 'city' is expressed as an expression of sadness, anxiety and mourning. 'Rural' is expressed in white, which is reminiscent of innocence and divini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emotion of the main character, a mixture of dark blue, orange and yellow are used. The ideological analysis is the symbolic space in which the dominant ideology and discourse dominate the 'world' that Lacan suggested in the world of psychoanalysis, and the reality of the subconscious in the symbolic world is the 'stairway of the underpass' I have presented an analysis of imaginary space free from the oppressive call of dominant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