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코어카드를 활용한 개인 및 지역정보화 수준 측정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nformation Capacity Assessment Index of Local Residents Using Score Card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응용통계연구, 21(6), pp.1077-1091 Dec, 2008
Subject
통계학
Language
한국어
ISSN
2383-5818
1225-066X
Abstract
In this study, we consider to assess the information ability of individuals related to local information. Questionnaire surveys are frequently used for studies on the measuring of information index and such specified indexes of society development. However, if questionnaire papers measured individuals’ abilities and such parts of quality, the subjective judgments of respondents cannot but be intervened. Therefore a method which will enable subjective points to be comparatively objectified is needed. In this study, when an attempt is being made to measure individuals’ information capacity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s the process for calculating the standards of regional information levels. Cases have been looked at for times when, by using a scorecard, individuals’ subjective survey result have been be changed to be comparatively objectified scores and such process. The logit model wa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scorecard. In this study, we have presented a clue which enables the comparative measurement about regional information gaps by using characteristics of regional population statistics.
정보화 지수 등 사회의 현상을 특정 지수로 계량화하기 위한 연구에서 설문조사가 많이 활용된다. 그런데, 설문지로 개인의 능력과 같은 정성적 부분을 측정하게 되면, 설문에 응하는 사람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설문지에 표현된 개인의 주관적인 점수를 비교적 객관적 점수로 변경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로 개인의 정보화 수준을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지역의 정보화 수준을 산출하고자 할 때, 개인의 주관적 설문 점수를 스코어카드를 사용하여 비교적 객관적 점수로 변경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스코어카드 작성 시 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의 인구통계학적 분포로 지역의 정보격차를 비교측정 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