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남장로교 한국선교회의 의료선교사 제임스 로저스(James McLean Rogers, M.D.)의자선적 의료선교 활동 연구
A Study on the Charitable Medical Missionary Activities of James McLean Rogers (M.D.), a Medical Missionary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the United States in Korea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장신논단, 54(1), pp.165-194 Mar, 2022
Subject
기독교신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13-7554
1229-1390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charitable medical missionary activity of James McLean Rogers, M.D. (1917-1940 present in Korea), a surgeon missionary sent to Korea by the Presbyterian Church, U.S. in October 1917. He belonged to the Soonchun Mission Station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the U.S. in Korea (SPMK) and took charge of Alexander Hospital, and his performance in the 1930s was second to none to that of Severance Hospital, the united hospital of six mission societies in Korea. He performed free in charity on more than 60%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his charitable medical missionary work and suggests an example in the social service for Korean churches today. To this end, this article first studies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Soonchun territory, the first start of Soonchun Mission Hospital, the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Alexander Hospital, and Rogers’ charitable medical missionary activities and the activities of helpers. The analysis data for this includes the annual minutes of the SPMK (1913-1940), contributions from missionaries including Rogers, personal mission reports, and materials produced by Koreans, including media articles at the time.
본 글은 미국남장로교 해외선교실행위원회가 1917년 10월 한국에 파송한 외과전문 의사선교사 로저스(James McLean Rogers, M.D.)의 자선적 의료선교 활동을 연구한다. 그는 순천선교부에 속하여 알렉산더병원(Alexander Memorial Hospital)을 맡았다. 1930년대 이 병원은 한국 최대의 연합병원인 세브란스병원의 실적에 버금가는 실적을 올렸다. 특히 로저스는 내원환자의 60%이상을 무료로 시술 하였다. 본 글은 그의 자선적 의료선교활동의 특징을 연구하여 오늘날 한국교회가 어떻게 지역사회를 섬겨야 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보기를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글은 먼저 순천지역의 사회경제적 배경, 순천 선교병원의 첫 시작과 안력 산병원의 건축과 증축, 로저스의 자선적 의료선교 활동과 동역자들의 협력을 분석 한다. 이를 위한 분석 자료는 한국선교회 연례회의록(1913-1940), 로저스를 포함 하는 선교사들의 기고문과 선교보고서, 및 한국인들이 생산한 자료들로 당시 언론 기사 등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