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urrent Status of Soybean Production in Nigeria: Constraint and Prospect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4(2), pp.149-156 Jun, 2022
Subject
농학
Language
English
ISSN
2287-8165
1225-8504
Abstract
Soybean is an important crop widely grown in the northern region of Nigeria for human and animal consumption. Commercial production of soybean in Nigeria has existed for eight decades. Current malnutrition and nutrient health problems in Nigeria warranted the introduction of high nutritive and affordable food sources such as soybean in the Nigerian diet. The high demand for soybean and its products has led to the rise in the cultivation of soybean in Nigeria. Although an increase in production has been recorded, the region of production has failed to achieve the potential yield per hectare. In improving soybean production in Nigeria, it is paramount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production. This review paper provides information on factors affecting soybean production across the regions of production in Nigeria. The identified factors responsible for the yield gap includ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agroecology shift, nutrient depletion and soil fertility, sowing date, the emergence of pests and diseases, and limited improved soybean cultivars. Adoption of improved soybean variety suitable in agroecology and sowing, at the appropriate sowing date by Nigerian farmers, can guarantee optimum soybean production. Further soybean breeding improvement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more improved varieties with superior performance in Nigeria’s agroecology to achieve yield potential.
나이지리아에서 콩은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인간과 동물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지난 80년간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중요한 작물이다. 현재 나이지리아에서 국민의 식생활에서의 영양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양가 높고 값싼 식품 원료도입이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콩 및 콩의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 및 재배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나이지리아에서 콩의 수요량 증가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원인을 구명하고 생산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1. 나이지리아는 1908년 최초로 콩을 도입하고 1937년부터중부지역을 중심으로 상업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 및 생산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생산성이 ha당1ton 미만으로 낮은 실정이다. 2. 나이지리아에서 콩 생산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은 기후변화에 생태계변화와 더불어 비생물적 요인으로 고온, 침수, 가뭄 등과 생물적 요인으로 진딧물, 노린재, 딱정벌레 등 해충과 불마름병, 녹병 등 병원균 및 선충, 바이러스, 잡초 등이있다. 3. 나이지리아에서 콩 재배기술 향상을 위해 기후변화에 의한 농업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하는 기술과 토양 비옥도 감소및 병해충방제에 대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나이지리아에서 콩 품종개발을 위해 국립곡물연구소(NCRI)와 국제열대작물연구소(IITA)간에 협력연구가 수행되어오고 있으나 나이지리아의 농업생태계에 적응성이 높은 우수한 성능을 지닌 품종개발을 위해서는 한국과 같은콩 자원이 풍부한 국가와 국제협력을 통한 육종체계 개선연구가 필요하다.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