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靈性敘事之下的文化記憶 - 以貴州仡佬族作家王華作品爲例
Cultural Memory under spiritual Narration: Analysis of the novels of Wang Hua, a female writer of Gelao nationality in Guizhou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중어중문학, 0(86), pp.27-48 Dec, 2021
Subject
중국어와문학
Language
중국어
ISSN
2733-8894
1226-2900
Abstract
This article takes the Gelao writer Wang Hua's two novels "Snow Peas" and "Homeland" as examples, using spiritual narrative and cultural memory theories, and analyzes it from the perspectives of new spiritual space construction, low-level image writing, and the perspective of others.The author believes that Wang Hua’s concern is the direction of human mental state when ancient civilization disappears under the impact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man and nature is severed.In Wang Hua's view, the human spirit must face a world full of tragedy, and only use rationality as the leading factor will be at a loss for the tragic reality. Only by using the cultural memory of the ancient national culture to supplement the contemporary civilization of the modern world can we Reveal the source of people's anxiety, so as to find the habitat of the soul. Wang Hua raised new questions on the issue of cultural immigrants. What is the way out for these cultural immigrants who voluntarily or are forced to leave their homes due to economic and development reasons? She tried to find a way out for the future living space of "Qiaoxi Village", "Ansha Village" and even more cultural immigrants. Although there is no answer in the text, the cultural immigrants are not suppressed by their own sufferings. After breaking down, people still maintain the tenacity of human nature after experiencing life after life, and the new life is still unfolding slowly, which shows Wang Hua's optimistic attitude towards this.
필자는 흘로족(仡佬族) 작가인 왕화(王华)의 소설에 주목하여 관련 자료의수집과 정리를 통해 왕화의 대표적인 두 작품인 《리마콩(雪豆)》과 《고향(家园)》을 예를 들어 영적 서사와 문화적 기억을 이론적으로 영적 신공간의 구축, 하층민 이미지 서사, 타자의 시각등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왕화의 관심사는 현대문명의 충격으로 옛 문명이 사라지고, 인간과 자연의연결이 끊어지고 나서 인간의 정신상태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의 문제이다. 왕화가 보기에 인간의 정신적인 측면은 비극과 황폐로 가득한 세상을 마주해야 한다. 오래된 민족문화 속 문화적 기억을 활용해 현대세계 현대문명의 구축을 보완해야 인간의 착란감과 초조함의 원천을 밝혀 영혼의 서식처를 찾을수 있다. 왕화는 문화 이민 문제에 대해 새로운 의문을 제기한다. '교계장(橋溪莊)', '안사장(安沙莊)'은 물론 더 많은 문화 이주민들이이 미래 삶의 터전을 찾으려는 그의 시도는 텍스트에는 답이 없지만, 문화 이주민들이 자신의 고난에짓눌리지 않고 거듭된 고통 속에서도 인간적 강인함을 유지하며 새로운 삶을열어가는 데서 왕화의 낙관을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