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인식과 수업 - 초등영어 수업에서 언어 형식 지도를 중심으로
Teacher Cognition and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eaching Language Form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학교와 수업 연구, 9(1), pp.1-36 Feb, 2024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3022-8077
2508-156x
Abstract
교사의 인식은 교과 지도에 필요한 지식과 지식 적용에 대한 신념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중요하게 반영되며, 그 결과 학생들의 학습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인식과 수업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역동적 관계에 주목하여 초등영어 수업에서 언어 형식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인식의 원천, 인식이 수업에 반영되는 양상, 수업 경험을 통한 인식의 발전 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경력의 교사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언어 형식 지도에 초점을 둔 초등영어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성찰하도록 하였고, 현장 기반 자료를 중심으로 상황적 접근법과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 교사들의 인식과 그러한 인식이 수업에 반영되는 양상, 수업 경험을 통한 인식의 변화 등을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전 교사들의 일반적 인식은 전반적으로 적절한 수준이었지만, 상황적 인식은 개별 수업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즉, 수업 전 강의와 워크숍 중심의 전문 학습 경험을 통해 적절한 상황적 인식을 형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일반적 인식은 주로 개별 수업의 학습 내용을 고려하여 상황적 인식으로 구체화 되었으며, 그러한 수준의 상황적 인식이 수업에 반영되었다. 또한, 수업에 따라서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일반적 인식과는 상반되는 상황적 인식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셋째, 수업 계획과 실행, 성찰 경험은 기존 인식의 전문성 수준을 높이고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수업 경험을 통한 인식의 발전은 이후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사이에서 선순환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어 수업을 넘어서 각 교과 지도에 있어서 교사의 인식과 수업의 역동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전문적 인식을 형성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eachers’ cognitions comprise knowledge and beliefs necessary for teaching academic subjects, significantly impacting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lessons. From the perspective, this research explores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eachers’ cognition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It aims to uncover how teachers’ cognitions influence their teaching practice and how their teaching experience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ir cognitions, particularly in teaching language form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The study involved 8 teachers, inclu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diverse academic and teaching backgrounds. This research examined their cognitions and analyzed their teaching practices, emphasizing teaching language forms at the elementary level. It also examined how their cognitions evolved through engaging in teaching practices. The primary findings revealed that, prior to commencing teaching practices, the teachers held more robust general cognitions compared to contextual ones. Concerning the impact of these cognitions on teaching practices, general cognitions were adapted into contextual ones for each lesson, generally aligning with teaching practice. However, in certain lessons, new contextual cognitions, conflicting with the general ones, were employed based on specific contextual factors such as learning contents and students’ proficiency levels. The development of cognitions through teaching practices underscored their central role in refining existing cognitions and developing new on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cogntion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cognitions as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