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오신화』의 체재와 현실 인식 - 유학 사상과 서사 기법을 중심으로
Geumosinhwa's formatting(體裁) and perception of reality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문학과 예술, 0(49), pp.119-156 Mar, 2024
Subject
감성과학
Language
한국어
ISSN
2465-8642
1976-8400
Abstract
본고는 『금오신화』의 체재(體裁)가 현실에 대한 기지(旣知)․미지적(未知的) 접근으로 양분되어 실현되며, 이것이 유학에서 추구하는 진리 추구의 두 가지 방법과 관련을 맺고 있다는 논지로 서술된 글이다. 먼저 김시습은 문사의 입장에서 바라본 부정적인 현실의 모습에 설득력을 부여하기 위해, 앎에 대한 단계적 접근을 골자로 하는 유학 심성론이 제시하는 내외 연속의 통일적 방법론을 서사의 구성의 원리로 활용하였다. 이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에 등장하는 ‘전란’이 ‘여성 수난’이나 ‘죽음’, 이계 체험 등의 여러 모티프들과 깊은 관련을 맺는 가운데, 개인-국가-역사-학문 차원으로 발전․심화․종합되는 단계적 국면을 통해서 확인된다. 그러나 김시습은 부정적인 현실상과 그 원인을 밝히는 선에 그치지 않고, 유희적 분위기와 담담한 어조가 주를 이루는 <용궁부연록>을 집필하였다. 고조된 울분을 푼 후 위안을 얻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자, 선행 작품들에서 해결하지 못한 의문에 답하기 위해서였다. 천지를 윤택하게 하는 도(道)가 용왕의 덕성과 능력을 통해 드러남에도, 현실은 그렇지 못한 이유에 대한 해명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고로 기지(旣知)의 차원에서 부정적인 현실의 참상과 원인을 밝히는 데에 주목했던 것과는 달리, <용궁부연록>은 이에 대한 의문과 해답 및 전망을 리(理), 즉 천명의 심오함과 미지성에 기대어 제시하는 방식으로 서사가 전개되었다. 이는 작품에서 형상화된 부정적인 현실상과 처세 방식에 설득력을 부여하려는 시도였다. 이 지점에서 내외 연속의 통일적 방법론과 더불어 아는 것은 안다고 말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인정하는 것이 아는 것이라는 유학의 또 다른 진리 추구의 자세가 확인된다. 『금오신화』의 체재와 작품 배치가 인간의 능력으로 알 수 있는 영역과 그럴 수 없는 부분 나뉘어 실현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시습은 기지의 차원에서 파악한 부정적인 세계상을 미지의 영역에 대한 존중 및 수용을 통해 위안을 얻는 한편, 현실을 짓누르는 강고한 힘 앞에 무력한 지식인의 모습을 그리고자 한 것이 아닌가 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Geumosinhwa(金鰲新話)’s formatting is realised through the bifurcation of the known and unknown approaches to reality, and that this is related to the attitude of truth-seeking pursued by Confucianism. Firstly, in order to give conviction to the negative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riter, Siseup Kim(金時習) utilizes the unified methodology of internal and external succession presented by Confucian psychological theory, which is based on a step-by-step approach to knowledge, as the principle of narrative composition. This is confirmed through the stages of development, deepening, and synthesis of the ‘warring’ motif in Manboksa-jeopo-gi(萬福寺樗蒲記), Yisengguijangjeon(李生窺墻傳), Chwiyu-bubyeokjeong-gi(醉遊浮碧亭記), and Namyeom-buju-ji(南炎浮洲志), which are the personal, national, historical, and academic levels. However, Siseup Kim did not halt at identifying the negative causes of reality, but wrote Yonggung-buyen-lok(龍宮赴宴錄), which has a playful atmosphere and a calm tone. It was partly an attempt to find solace after a period of intense anger, and to answer questions left unanswered in his previous works. He needed an explanation for why the Tao(道), which enriches the heavens and earth, was revealed through the virtues and abilities of the Dragon King(龍王), but not in reality. In contrast to the focus on uncovering the devastation and causes of negative realities at the level of knowledge, Yonggung-buyen-lok’s narrative unfolds in such a way that the answer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rely on Li(理), or Heavenly Destiny(天命), to provide answers and prospects. By dealing with both what we can know and what we cannot, the film attempts to give credence to the negative reality and the way things are. At this point, another perspective of Confucianism's pursuit of truth is confirmed: Truly, that it is knowing to say that one knows what one knows and admit that one does not know what one does not know. Siseup Kim may have been attempting to paint a picture of the intellectual as helpless in the face of powerful forces that crush reality, while finding solace in the respect and acceptance of the unknow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