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콘텐츠 플랫폼 변화에 따른 그래픽 디자인의 ‘움직이는 표현’ 활용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의 무빙 포스터 프로토타입 제안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Moving Expressions' in Graphic Design according to changes in Content Platform - Proposal for a Prototype of Moving Posters in Picture Books -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디자인포럼, 28(3), 80, pp.245-258 Aug, 2023
Subject
디자인
Language
한국어
ISSN
2586-4777
2233-9205
Abstract
Background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Computers, the Internet, AR/VR, Metaverse, and AI, and brought new environments and changes in various fields. Recently, in the midst of the pandemic, there was a need for Media Conversion using digital technology for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Print Media. Recently, during the Pandemic,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for a transition in the Print Media industry, which is based on emotional communication, to apply digital technology. This has led to various attempts in fields such as Moving Posters, AR content, and Digital Publishing to enhance Visual appeal and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Among them, the expression 'movement' called 'movement' plays a major role in the reproduction of moving posters that form plot structures and deliver information by giving time to the limited and flat space of traditional print media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 platforms, Moving Posters have become more popularized and shared.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this is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Animation elements of the ‘movement’ expression that has recently appeared in Graphic Design in response to changes in platforms that everyone can easily access outside of time and space, and proposes a prototype by identifying the ‘untapped domains’. Methods It theoretically explore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platform change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f Media, and investigates the use of‘motion’expression elements in the field of Graphic Design. After that, the concept of the Moving Poster, the current trend, unused fields, and ‘movement’ elements are analyzed. In addition, a preliminary surve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of users. By integrally modifying/complementing the pre-survey and extracted‘movement’elements, new ‘movement’elements are derived and re-established for applied to prototypes of Picture Book Moving Posters and verify objectivity through expert preference surveys. The scope of the study is AR Picture Books [Little Bear Mur] and [Are you scared of the dark?] selected by identifying unused fields. Result In order to develop a prototype of the Picture Book Moving Poster, this paper used the cover design of two Picture Books. Moving Posters were produced by selecting three final drafts for each Picture Book’s contents and Design Concept. In addition, through a preference survey of four experts focusing on the atten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efficiency of the Moving Poster, Plan A was finally selected as [Little Bear Mur] and Plan C was selected as [Are you scared of the dark?]. And each Moving Poster was developed around 5s and 10s looping mot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this paper classified changes in content platforms from a media evolutionary perspective into periods of Analog and Digital Revolutions. Second, a Moving Poster’s interface design prototype in an unused field was proposed by extracting the current status and movement elements of domestic Moving Poster. Third, new movement elements were derived by identifying the needs of users. The extracted elements consist of Visual Extension elements (2D, 3D, Video), Temporal and Spatial Extension elements (Scene Conversion, Plot Structure, Motion time), and Auditory Extension elements (Background Music, Sound Effect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user's response test process was not included.
연구배경 20세기 중반 이후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컴퓨터, 인터넷, AR/VR, 메타버스, AI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환경과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 팬데믹 시대와 함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하는 환경에서, 감성적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인쇄 미디어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매체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움직이는 포스터, AR 콘텐츠, 디지털 출판 등 여러 분야에서 시각적 주목성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에 대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중에서 무빙이라 불리는‘움직임’ 표현은 전통적인 인쇄 미디어의 제한적이고 평면적인 공간에 시간성을 부여하여 플롯 구조를 형성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무빙 포스터의 재현 방식에 큰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의 발전으로 인해 무빙 포스터가 보다 대중화되고 공유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에 관한 학문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본고는 시공간 제약을 벗어나 모든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에서 움직임을 활용한 그래픽 디자인의 매체 전환에 관한 탐구과정으로‘움직임’ 표현 요소를 시공간 확장의 개념으로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활용된 분야의 무빙 포스터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로 미디어의 진화적 관점에서 기술 발전과 플랫폼 변화를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움직임’ 표현 요소의 활용 현황을 조사한다. 이후 무빙 포스터의 개념과 현재 제작 현황, 미활용 분야 및 움직임 요소를 분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 설문 조사를 시행한다. 추출된 움직임 요소와 사전 설문 조사에서 파악된 요소를 통합적으로 수정/보완하여 새로운‘움직임’ 요소를 도출하고 재정립하여 그림책 무빙 포스터의 프로토타입에 적용하고 전문가들의 객관적인 디자인 평가를 통해 프로토타입 제안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연구범위는 미활용 분야 파악을 통해 선택된 AR 그림책[ [꼬마곰 무르]와 [깜깜한게 무섭다고, 내가?]이다. 연구결과 그림책 무빙 포스터의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해 본고에서는 두 가지 그림책의 표지디자인을 활용하였다. 각각의 그림책 내용과 디자인 컨셉에 맞게 3가지의 시안을 최종 선택하여 무빙 포스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무빙 포스터의 주목성, 정보 전달성, 효율성을 중심으로 전문가 4명의 객관적인 디자인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꼬마 곰 무르]는 시안 A가 선택되었고, [깜깜한게 무섭다고 내가?]는 시안 C가 선택되었으며, 각각 8개의 씬으로 구성된 5초와 10초 동안 모션이 루핑되는 무빙 포스터가 개발되었다. 결론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미디어 진화적 관점에서 콘텐츠 플랫폼 변화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혁명의 시기로 분류하였다. 둘째, 국내 무빙 포스터의 현황과‘움직임’ 요소를 추출하여 미활용 분야의 무빙 포스터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새로운‘움직임’ 요소를 도출하였다. 추출된 요소는 시각적 확장 요소(2D, 3D, 동영상), 시·공간적 확장 요소(장면전환, 플롯 구조, 재생 시간), 청각적 확장 요소(배경음악, 효과음)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사용자의 반응 연구는 논외로 연구의 한계를 설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