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적 블록을 가지는 대칭적 시간표 모듈의 유연성과 제어성
Flexibility and Controllability of Symmetric Timetable Modules with Potential Blocks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12), pp.229-237 Dec, 2018
Subject
학제간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2508-6723
1598-4877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effective timetable modules in order to easily satisfy various user requirements during scheduling timetables in universities. Noticing that the methods for allocating time blocks change according to the timetable modules, we suggest six models of symmetric timetable modules composed of 4 blocks, and show that our models have more benefits without any loss from the viewpoint of customers, if the suppliers consider the decreasing upper bound of ratio utilizing space resources. By adapting a concept of potentially determined blocks and suggesting their management strategies, finally, we accomplish a method for supporting flexibility and controllability when the universities timetables are scheduled.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에서 시간표 작성 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쉽게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시간표 모듈에 대하여 논의한다. 시간표 모듈에 따라서 시간블록의 할당방법도 달라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먼저 4 블록 단위로 구성된 대칭적 시간표 모듈 6종을 제시하고 3블록 단위로 구성된 것에 비하여, 수요자 관점에서는 아무 손실 없이 그리고 공급자 관점에서는 공간사용율 상한선 감소를 감안하면, 더 많은 장점을 가진다는 점을 보인다. 제시된 모델들에 잠재적으로만 결정된 잠재블록 개념을 도입 적응시키고 운용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대학시간표 작성 시 유연성과 제어성을 동시에 얻는 방법을 완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