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재활을 위한 한국어의 음향적 분석과 선율화
Acoustic Analysis and Melodization of Korean Intonation for Language Rehabilitation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21(1), pp.49-68 Apr, 2024
Subject
음악학
Language
한국어
ISSN
2671-5791
2288-277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특성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분석 결과를 음악적 요소로 변환하여 생성된 선율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근거 기반 음악-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25세의 남성과 여성 각각 30명으로부터 3음절의 두 강세구로 이루어진 6음절 한국어의 음성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평서문과 의문문을 포함하였다. 이를 Praat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음절별로 음향적 속성을 추출하고, 각 음향적 속성, 문장 유형, 성별, 조사의 유무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강세구, 억양구에 따라 각 음절의 주파수와 지속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p<.001), 의문문이 평서문보다 주파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01), 평서문이 유의미하게 긴 경향을 보였다(p<.001). 여성 집단이 남성 집단보다 주파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01), 지속시간도 유의미하게 긴 경향을 보였다(p<.001). 또한 조사인 음절의 강도가 유의미하게 세게 나타났다(p<.001).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장 유형, 성별, 조사의 유무에 따라 나타난 음향적 속성을 음악적 요소인 음고, 음가, 악센트로 변환한 선율들을 악보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음절 한국어 문장을 대상으로 한 분석을 제시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대규모 한국어 음성 데이터의 선율화 시스템 개발 연구를 진행하려 하며, 이는 음악을 활용한 언어재활 분야의 기초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coustically analyze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convert these findings into musical element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evidence-based music-language rehabilitation. We collected voice data from thirty men and thirty women aged 19-25, each providing six-syllable prosodic units composed of two accentual phrases, including both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Analyzing this data with Praat, we extracted syllabic acoustic properties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es based on acoustic properties, sentence type, gender, and particle pres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yllable frequency and duration based on accentual phrases and prosodic units (p<.001), with interrogative showing higher frequencies and declaratives longer durations (p<.001). Female frequenc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p<.001), with longer durations observed (p<.001). Particle syllables also showed significantly stronger intensities (p<.001). Finally, we presented melodies converted from these acoustic properties into musical scores based on pitch, duration, and accent. The insights from this analysis of six-syllable Korean sentences will guide further research on developing a system for melodizing large-scale Korean speech data, expected to be crucial in music-based language rehabil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