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 활용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과 전망
Perspectiv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on th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in Speech Pathology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언어치료연구, 33(2), pp.125-134 Apr, 2024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671-7158
1226-587X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언어재활사의 VR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VR을 언어치료 영역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관심을 높이고 향후 연구 및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위한 VR 콘텐츠 개발에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임상 현장에 근무하는 언어재활사 145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가상현실 활용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과 기대에 대한 항목들을 살펴 보았다. 결과: 첫째, 인식 문항에서, 언어재활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치료 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VR의 장점으로 간접 체험이 가능하고, 공간적 제약이 없는 것, 흥미를 유발하는 것, 다양한 주제로 체험이 가능한 것 등을 꼽았다. 반면, 기기 착용의 번거로움과 어지러움, 고가의 기기 가격 등을 VR을 언어치료에 적용하는 것에서 단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재활사들은 VR을 언어치료에 활용하는 데 대한 전망에 있어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효과를 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언어치료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빠르게 발전하는 이 시대에 최신의 기술과의 접목이 언어치료 현장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VR을 활용한 언어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관심, 언어치료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세부적인 치료 영역의 전망을 수집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VR을 활용한 언어치료 영역의 연구와 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전망을 확인하였고, 이에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과 개발 연구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rough a survey administered to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their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virtual reality (VR). In addition, it sought to spark interest among SLPs about VR’s application in the field of speech therapy and provide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R content for future research and speech therapy programs. Methods: We analyzed the survey responses of 145 SLPs working in clinical settings and examined item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using VR. Results: First, in the perception items, SLPs responded that using smart devices in treatment is effective. The advantages of VR included allowing for indirect experiences, having no spatial restrictions, arousing interest, and experiencing a wide range of topics. Conversely, wearer discomfort and dizziness as well as the device’s expensive cost were perceived as disadvantages when it came to applying VR to speech therapy. Second, SLPs showed expectations for VR’s efficacy in various therapeutic areas. It has been shown that SLPs expect speech therap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be effective in the future. Conclusion: In this rapidly developing era, the integration of the latest technology must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peech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gather insights into the necessity and interest in developing speech therapy programs utilizing VR, as well as to collect prospects for detailed therapeutic areas for developing speech therapy cont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and prospects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peech therapy programs using VR were confirmed, and we anticipate more diverse programs and research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