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인구 절벽 시대에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 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학구성원 유대감의 중요성에 대하여
A New Direction for South Korean Universities in the Age of Low Birth Rates and Low Retention Rate: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상품학연구, 36(4), pp.71-77 Aug, 2018
Subject
경영학
Language
한국어
ISSN
1226-6132
Abstract
Due to declining birth rates in South Korea, the lowered retention rate of university student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South Korean universitie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se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ir adaptation and satisfaction levels in their universities. To better understand this issue, this paper examines how social relationships lead to higher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e also expect that this will ultimately result in high levels of loyalty, which was measured by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their universities through their word-of-mouth on social media and their peers.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analyzed 441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relationships lead to a higher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hich ultimately increases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their universiti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 that the overall effects are higher for those who participated in a school program, such as school festivals and sports events. The results of our paper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we examined social relationships, which has received little academic atten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Our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planning and offering school events are useful for student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is will ultimat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their universities to others. Overall,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university’s management system by minimizing potential financial loss through a high retention rate of students, and by providing students with a happier life at their universities.
낮은 출산율로 인한 학생 수급 부족 및 신입생의 높은 이탈률은 최근 우리나라 대학이 당면한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교육 수요자인 대학생의 입장에서 어떠한 요소가 대학 생활 적응 및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은 시의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구성원 간 유대감 형성이 대학 생활 적응과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궁극적으로 대학 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 애호도는 소셜 미디어 및 주변 사람에게 대학교를 추천하는 구전 효과로 측정하였다. 총 441명의 설문 자료를 구조 방정식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 구성원 간 유대감 형성은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교육 만족도로 이어졌으며, 궁극적으로 대학 애호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다중 집단 구조 방정식(Multi-group SEM)으로 분석한 결과 학교에서 주최하는 행사(축제 및 체육 대회)의 참여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본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인 시사점으로는 아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대학 구성원 간 유대감 형성을 국내 대학생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대학 생활 적응, 만족도 및 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점이다. 실무적인 시사점으로는 대학 구성원 간 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및 제공이 대학생 유대감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대학을 운영하는 경영자의 관점에서 학생 이탈률 감소를 통한 재정적 손실의 최소화 및 대학 교육의 주요 소비자인 대학생에게 행복한 대학 생활 제공을 통해 향후 성공적인 대학 운영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