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기업의 인사시스템 특징과 기업성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Resource System and Firm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인적자원개발연구, 24(4), pp.121-141 Dec, 2021
Subject
경영학
Language
한국어
ISSN
1598-1835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HR) system of Korean compani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R system and firm performance. The HR system was divided into the traditional HR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oriented HR manage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regular employees working in company with 100 or more full-time worke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R system of Korean companies were that although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oriented HR management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s a paradigm, in reality, the proportion of traditional HR management was high. Second, the HR system affecting firm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was identified.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oriented HR practices that affect firm performance were extensive training, scientific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job based pay, high incentive, and various welfare benefits. Traditional HR practices that affect firm performance include emphasizing on organization/ job commitment, high glass-ceiling, complicated promotion stages, and using performance appraisal results only for when determining pa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HR system that affects firm performance is different from the HR system of Korean companies that are actually operating,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HR system that take into account differenc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이 연구는 국내 기업들만의 인사시스템 특징을 발견하고, 인사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 기업들의 인적자원관리 방식에 관한 논의를 통해, 전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 및 참여 지향 인적자원관리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인적자원관리 주요 영역별(채용, 해고, 교육, 직무, 승진, 평가, 임금/복지, 참여)로 두 가지 인적자원관리의 프랙티스들을 제시하고, 기업성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는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의 정규직 근로자들을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태분석 결과로 국내 기업들은 전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 및 참여 지향 인적자원관리를 혼용하고 있었는데, 고용안정, 직무/직장몰입 중시, 조직몰입/충성심 중시 채용, 형식적 평가 등 전통적 방식의 비중이 높았다. 둘째, 회귀분석결과로 국내 기업들의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사시스템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 및 참여 지향 인적자원관리의 기업성과에 대한 영향력이 혼재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과 및 참여 지향 인적자원관리 프랙티스는 광범위한 교육, 과학적 평가, 직무 가치 기초 임금, 높은 성과급 비중, 다양한 복리후생 등이었다.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전통적 인적자원관리 프랙티스는 직무/직장몰입 중시, 높은 유리천장, 복잡한승진 단계, 평가결과를 임금 산정에만 활용하는 것 등이었다. 연구결과, 국내 기업들의 인적자원관리 방식의 현실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사 프랙티스가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서로의차이를 고려한 국내 기업만의 고유한 인사시스템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