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로시설의 역할과 기능 제고 방안: 서울시 무료 양로시설을 중심으로
Measures to Improve the Role and Function of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Focusing on Free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in Seoul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9(6), 62, pp.245-257 Jun, 2023
Subject
학제간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2671-5325
2508-908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role of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to ensure th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ithout dependents and find ways to improve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as alternative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he blind spot of community car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seven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in Seoul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faced in the operation and operation statu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of the residents was 84.9 years old due to the aging of the elderly, and 20% of the elderly needed care for more than 7 hours a day. Second, there was a problem of the adequacy of residential space due to the deterior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facilities. Most of the facilities consisted of shared rooms, and the space was too small to ensure privacy. Third, there were facilities without dedicated social workers, and service quality could not be guaranteed by appropriate work force. Finally, programs linked to local communities or programs for lifelong education were found to be weak.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residential space composition for privacy protection of the elderly, specialized programs centered on the needs of the elderly, strengthened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expanded case management functions and placement of case management experts, and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as an intermediate facility of homestay and nursing homes.
본 연구는 무의탁노인의 노후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양로시설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여 양로시설이 지역사회돌봄의 사각지대 노인을 위한 대안적 복지서비스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양로시설 7개소에 대한 조사를 통해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입소자의 고령화로 돌봄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입소자의 평균 연령은 84.9세였으며 1일 7시간 이상 돌봄이 필요한 노인도 20%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간 구성의 노후화와 시설화로 주거공간으로서 부적절성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시설은 3인~4인의 다인실이었고 협소하여 사생활을 보장받을 수 없는 구조였다. 셋째, 서비스 질을 위한 인력 구성의 적절성 문제로 전담 사회복지사가 없는 시설도 있었다. 넷째,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이나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생활보호를 위한 공간구성의 필요성, 욕구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사회 연계 강화, 사례관리 기능 강화와 사례관리 전문인력 배치, 그리고 재가와 요양시설의 중간 시설로서 양로시설의 기능 강화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