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린환경의 실외 놀이공간 형평성에 관한 연구
The Equity of Outdoor Play Environment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8(10), 408, pp.207-217 Oct, 2022
Subject
건축공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33-6247
2733-6239
Abstract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is a very important space in contributing to children's health and development. There are considerable researchactivities regarding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and equity of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However, in Korea, there are not enough studiesexamining the equity of children's outdoor play environments. In this study, playgrounds and children's parks data were created and collectedusing the ArcGIS Pro program to confirm the quantitative differences in outdoor play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childrenin housing poverty in Seoul. By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children in housing poverty in Seoul, a total of 26 administrativeboundaries were selected as the site. The number and area of play environments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and compared. As a result ofthe analysis, the low-group with a significant number of children in housing poverty suffered a double deficiency compared to the mid- orhigh-group in terms of the number, area, density of playgrounds and area of children's parks. To overcome such inequity, it is necessary tosupply outdoor play environments more equitably in terms of multidimensional aspects such as the number, area, and density. In addition, it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rea of residence,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main housing type.
실외 놀이공간은 아동의 건강과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이에 실외 놀이공간의 양적 분배 및 형평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아동의 놀이공간의 형평성을 살펴본 연구가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행정동별 주거빈곤아동 분포 양상에 따른 실외 놀이공간의 양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GI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놀이터 및 어린이공원 데이터를 생성 및 수집하였다. 서울시 424개 동의 주거빈곤아동 공간적 분포 양상을 분석하여 주거빈곤아동이 밀집되어 있는 하위집단 10개동, 주거빈곤아동이 가장 적은 상위집단 10개동, 중위집단 6개동으로 총 26개 동을 연구대상지로 선별하였으며, 세 집단 간 실외 놀이공간의 양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별 놀이공간 개수와 면적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거빈곤아동이 많은 하위집단은 놀이터의 개수와 면적, 밀도 및 어린이공원의 면적 측면에서 중위집단과 상위집단에 비해 상당한 수준의 결핍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주거빈곤아동 분포 양상에 따른 지역 간 실외 놀이공간의 양적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외 놀이공간을 공급 시 주거지 면적과 거주하는 아동의 수, 주된 주택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놀이공간의 개수와 면적, 밀도 등 보다 다차원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형평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