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에 있어서 가변적 공간단위 문제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in Transit Accessibility Analysi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대한교통학회지, 37(6), 171, pp.499-513 Dec, 2019
Subject
공학일반
Language
한국어
ISSN
2234-4217
1229-1366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MAUP in relation to a spatial unit in transit accessibility analysis by example of Chuncheon city and verify the applicability of detailed living zone by comparing with traffic analysis zone based on administrative unit and grid-based spatial unit as alternative. As an example of Chuncheon City, the results of transit accessibility analysis on the three spatial uni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detailed living zone that takes into account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population distribu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ell reflect the transit accessibility of the study area.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population density confirms that the public transportation condition could be analyzed differently depending on a spatial uni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gregation level and the statistics derived from this study was generally well followed by that of the literature, but also represented the variable-specific characteristic of the MAUP eff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posing not only the appropriate spatial unit for the transit accessibility analysi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t spatial units for the study area but also in suggesting theoretical background and statistical verification methods in selecting a spatial unit in future relevant studies. Further research is intended to verify the extensibility of the detailed living zone in transit accessibility analysis by applying various indicators other than walking accessibility and transit service area to diverse regions, such as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본 연구는 춘천시를 사례로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에 있어서 공간단위 설정과 결부되는 MAUP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공간단위 대안으로써 상세생활권을 행정동 기반 교통분석존과 격자기반 공간단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검증한다. 춘천시를 사례로 세 공간단위에 대한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인구 분포, 대중교통 인프라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한 상세생활권이 사례 지역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잘 반영한다. 둘째, 인구밀도와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격자 단위와 상세생활권의 합역 방식에 따라 대중교통현황에 대한 해석이 달라짐을 확인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합역 수준과 통계치의 관계는 선행 연구를 잘 따르지만, 일부 MAUP 영향의 변수특수적 특성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 연구는 사례 지역에 대한 여러 공간단위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에 적합한 공간단위를 제안함과 동시에, 관련 연구에서 합역 방식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이론적 배경과 통계학적 검증방법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도보접근성과 대중교통 서비스권역 이외에 다양한 지표를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등 여러 지역에 적용하여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에 있어서 상세생활권의 범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