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및 청소년기 난소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Clinicopathological observation on ovarian mass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52(6), pp.636-643 Jun, 2009
Subject
산부인과학
Language
한국어
ISSN
2287-8580
2287-8572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that help in decisions about management of ovarian mas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n 307 patients with surgically treated ovarian mass under 20 years of age at the Cheil General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5. Results: Of the 307 cases, 40 cases (13%) were ovarian malignancy. The incidence of malignant ovarian tumor increased to 16.9% in 237 neoplastic tumors. Epithelial, germ cell, and sex-cord stromal malignancies accounted for 57.5%, 30% and 12.5%, respectively, of the 40 ovarian malignancies. The stage of the 35 cases (87.5%) with the ovarian malignancy was the FIGO stage I. The incidence of ovarian malignancies increased with larger size, higher CA125 level. Solid ovarian masses on ultrasound were more likely ovarian malignancy. But age and menarchal status was not correlated with ovarian malignancy. Mature cystic teratoma seen in 132 patients (55.7%), was the most common neoplasm of ovary in this age group, and the incidence of bilaterality was 12.1%. On follow up, 4.9% (13/267) of previously diagnosed benign ovarian tumor were reoperated due to recurred or newly developed ovarian tumor. After cystectomy, the recurrence rate of ipsilateral ovarian tumor was 2.8% (4/142). Conclusion: If there is no evidence of malignancy,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employed to preserve future endocrine function and fertility in this age group.
목적: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난소종물의 조직학적 특성 및 환자의 치료 결정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종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만 20세 이하의 환자 중 난소종물로 확진된 30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난소종물로 진단된 307예 중 악성 난소종양은 40예로 13%였고, 이 중 종양성 종물 237예 중에서는 16.9%의 빈도를 보였다. 악성 난소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상피세포종양 57.5%, 생식세포종양 30%, 성선 간질세포종양 12.5%로 나타났다. FIGO분류에 따른 병기는 1기 87.5%, 2기 2.5%, 3기 10%를 보였고, 추적관찰 중 2예에서 재발하였고 그 중 한 예는 사망하였으나 전체적인 예후는 좋았다. 종양성 난소종물에서의 악성과 관련된 인자는 종양의 크기, 수술 전 혈청 CA125수치 및 초음파 소견상 고형성으로 보이는 경우 의미있는 관련을 보였으나, 환자의 나이 및 초경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흔한 난소종양은 양성 기형종으로 전체 난소종물의 43% (132/307), 종양성 난소종물의 55.7% (132/237)를 차지하였고, 양측성의 빈도는 12.1% (16/132)였다. 추적관찰 중 양성 난소종양으로 수술 시행 후 다시 난소종양이 나타나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4.9% (13/267)였고, 그 중 낭종제거술 시행 후 동측에 난소종양이 발생하여 수술을 한 경우는 2.82% (4/142)였다. 결론: 이 시기에 발생하는 난소종양의 치료는 수술 전 종양의 크기나 수술 전 혈청 CA125수치, 초음파 소견 및 수술 시의 육안적 소견을 고려하여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가 아닌 한 이후의 내분비 기능 및 생식기능의 보존을 위해 가능한 난소를 보존하는 수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