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교과서에 서술된 한군현 내용의 변화과정 검토
A Review of Change Process of Han Commanderies Contents Described in History Textbooks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동북아역사논총, 0(79), pp.7-60 Mar, 2023
Subject
역사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13-928x
1975-784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 process of contents that describe Han Commanderies in history textbooks of Korean education field and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hange. The examinat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in history textbooks show remarkable changes in both amount and content after the History textbook of third curriculum, when the publication system converted from authorized to government-designated system. This trend continued until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 It can be described in two major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reduced as the curriculum developed. The tendency to reduce is also confirmed in the Han Commanderies’ influence and meaning in Korean history. The next characteristic is the attitude of the author of the non-specific and ambiguous description. Such description causes learners’ confusion and violates the description principle of textbooks, which should lead to clear understanding with accurate description. External pressures, not internal changes within the history academia, have influenced this tendency. Problem-posing in the so-called pseudo-history based on the nationalistic perception of ancient history in the 1980s was relatively easy to exert influence on the description of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under the background of government-designated system. Giving validity to this assumption is that the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Han Commanderies, which were confirmed after the textbook publication system was converted to authorized system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returned to the tendency to reduce in th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ublished after the government-designated system was promoted again in 2015.
이 글은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된 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 내용의 변화과정을 검토하고 변화의 배경과 의미를 정리한 것이다.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은 교과서 발행제도가 검인정에서 국정으로 전환된 3차 국사교과서부터 서술의 분량과 내용 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경향성이 7차 교과서까지 지속되었다. 그 특징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이다. 먼저 차수가 진행될수록 한군현 관련 내용 서술이 축소되었다. 6차에서 이러한 추세가 역전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지만 대체적인 추세는 축소 일변도였다. 서술 분량뿐만 아니라 한군현이 한국사에서 가지는 영향력 및 의미에 대해서도 같은 경향성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이지 않고 모호하게 서술하려는 집필자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 결과 교과서의 본문 서술을 통해서 한군현의 존재를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서술이 초래할 결과는 학습자의 혼란이며, 이는 정확한 서술로 명확한 이해를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의 서술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상의 경향성에 영향을 끼친 것은 역사학계 내부의 변화가 아닌 외부의 압력이었다. 1980년대 국수적 고대사 인식에 기반한 이른바 재야사학계의 문제 제기는 국정화라는 배경하에 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에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영향력을 끼칠 수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발행 제도가 검인정으로 전환된 이후 확인되는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가 2015년 국정화가 재추진된 이후 발행된 국정교과서에서 다시 과거의 그것으로 회귀한 사실이 이러한 추정에 타당성을 부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