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 인식 유형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Types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Q Methodological Approach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영유아교육.보육연구, 16(2), pp.115-135 Dec, 2023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005-6257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조직창의성의 유형과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유아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총 56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이후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2회의 Q분류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33 개의 Q표본을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P표본은 유아교사 39명을 선정하여 조직창의성에대한 인식을 Q분류 하도록 하였다.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조직창의성에 대한 인식 유형은 3가지유형으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자율성 기반 의사소통 중시형’으로 교사들 간에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자율성을 인정받는 것이 조직창의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가장 많은 유아교사들이 이 유형에 속하였다. 유형2는 ‘개방적·창의적 조직문화 중시형’으로유아교사들은 개방적이며, 창의적인 조직문화와 제도가 조직창의성을 높이는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형3은 ‘관리자 리더십 중시형’으로 관리자의 창의적이며 민주적인 리더십이 조직창의성을 높이는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분류한 조직창의성 유형화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using Q methodology. 56 stat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7 early childhood teachers. Then, 33 Q sample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wo times of Q classification targeting 5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ert consulting. The P sample for the study was 39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was classified into Q. There were three types of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us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ype 1 emphasized ‘autonomy-based communication’, which recognized that fre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recognition of autonomy increased organizational creativity. Early childhood teachers mainly responded in this type. Type 2 emphasized ‘open and cre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y recognized that open and cre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ystems are important in increasing organizational creativity. Type 3 emphasized ‘directors’ leadership’ and recognized that directors’ creative and democratic leadership was important in increasing organizational creativity.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classified in this study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