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특성이 이용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3D Virtual Fitting System’s Characteristics on Usag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소비문화연구, 23(3), pp.31-52 Sep, 2020
Subject
사회과학일반
Language
한국어
ISSN
1229-038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convenience to examine the product and perceived enjoyment of 3D virtual fitting system on usag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40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revealed that perceived usefulness, convenience to examine the product and perceived enjoyment positively influenced usage attitude of 3D virtual fitting system, which, in turn,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The effect of perceived enjoyment turned out to be the greatest.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usage attitudes were verified.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for online retailers which introduce 3D virtual fitting system were proposed.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의 주요변수인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추가된 변수인 제품평가 편의성 및 지각된 즐거움이 3D 가상착의 시스템 이용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월 이내 온라인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 49세 미만의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별과 연령대에 따른 할당표집을 하였으며, 총 529개의 데이터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이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지각된 유용성과 제품평가 편의성, 지각된 즐거움은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이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지각된 즐거움의 영향이 가장 크고, 그 다음 유용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D 가상착의 시스템 이용태도는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연구모형에서 3D 가상착의 시스템 이용태도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를 통해 모바일을 포함한 온라인 유통환경에서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사용이 소비자들의 패션제품 구매의도를 높이는 효율적인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향후 온라인 환경에서 가격 경쟁력을 피하고 소비자들의 패션제품 구매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3D 가상착의 시스템의 도입이 중요한 전략적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