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과 학습자 맞춤형 수업 시나리오 개발 -공감 능력 및 정보 분석·활용 능력에 따른 유형별 감상 수업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enarios for Art Curriculum Personalized Instruction: Focusing on Art Appreciation Class Considering in Empathetic Ability and Analytical and Utilization Skills of Information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미술교육논총, 38(2), pp.213-238 Mar, 2024
Subject
미술
Language
한국어
ISSN
1229-0440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비해 실제 학습자 맞춤형 교육에 관한 논의는 구호와 선언으로 그치고 있다는 문제 제기하에 미술과 맞춤형 수업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려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맞춤형 수업의 문헌 검토를 통해 이론적 틀을 설정하고 시나리오 방법론을 활용하여 미술과 학습자 맞춤형 수업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보다 실제적이고 상세한 시나리오 개발을 위해 범위를 좁혀 수업 장면으로는 미술 감상 수업을, 동인으로는 감상 수업에서 중요한 능력인 공감 능력과 정보의 분석과 활용 능력의 차이를 고려하였다. 공감 능력과 정보의 분석과 활용 능력의 수준을 각각 두 수준으로 나누어 총 네 가지 유형으로 설정하였으며 유형의 특성에 따라 학습 내용, 과정, 결과를 변주한 미술과 맞춤형 수업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나리오 실현을 위한 조건을 교실 환경 구축, 학생 특성 측정 도구 개발, 수업 자료 개발 및 축적, 제도 정비의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lineate the specific aspects of personalized art education. To achieve this, a theore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on personalized education, and scenarios for art curriculum personalized education were developed using scenario methodology. In order to narrow down the scope for more practical and detailed scenario development, art appreciation was chosen as the education context,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empathetic ability and analytical and utilization skills of information, which are important abilities in art appreciation. The levels of empathetic ability and analytical and utilization skills of information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each, resulting in four groups, and personalized art curriculum instruction scenarios were developed by varying the learning content, process, and outcom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inally, conditions for scenario implementation were proposed, including classroom environment setup, development of student characteristic measurement tools, development and accumul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