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 ․ 환경에 앞서는 ‘생존’: 생애사를 통해 본 태극기 집회 참가자들의 기후 ․ 환경 인식과 가치관
‘Survival’ over Climate and Environment:Climate and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Beliefs of Participants in the Taegeukgi Rally through Life History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환경교육, 36(4), 99, pp.390-412 Dec, 2023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1225-1259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데 비해 대응과 실천은 약한 한국의 기후 대응 여론과 행동 양상을 기후회의론의 일종인 대응회의론으로 바라보고, 참여자 4인에 대한 주제 중심 생애사의 질적 접근을 통해 대응회의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는가를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태극기 집회에 참가했다는 공통점을 가지는데, 이 연구에서는 태극기 집회 참가자들을 박정희 체제기인 1970년대를 시간 고향으로 삼아 강한 성장 ․ 국가주의와 반공의식을 공유하는 하나의 정치 세대단위로 바라보고 접근했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대응회의론 중심에 생존주의에 기반한 국가 ․ 성장주의가 자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위태로운 분단 상황과 세계 속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부단히 발전해야 한다는 이들의 생존주의에 기반한 성장주의 세계관은 국가와 인간 중심의 위계적 존재론과 사회진화론의 선형적 역사관에 기반하였다. 여기에서 기후변화는 문제화되지 않고, 환경은 주변화되고 타자화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차적으로 국가 중심의 문제해결 담론으로 기후 ․ 환경 문제를 바라본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결국 기후변화라는 지구적 문제는 결국 국가가 풀 수 없다는 한계를 인정하면서 지구 미래를 비관적으로 전망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장기적인 지구적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당장의 생존을 우선시할 수밖에 없는 ‘체념적 생존주의’를 체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기후-환경 커뮤니케이션과 교육에 있어서 한국 사회, 집단, 개인의 대응회의와 생존주의적 성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A heightened awareness of the severity of climate change, juxtaposed against a lack of response and action, can be interpreted as a manifestation of climate skepticism, particularly response skepticism. This study delves into the formation and sustenance of response skepticism by examining qualitative life history interview data from four participants of the Taegeukgi rallies. These participants are perceived as a political generational unit, sharing strong growth ideology,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with the 1970s under the Park Chung-hee regime serving as their pivotal period in their lives. The research reveals that response skepticism of participants is fundamentally rooted in nationalism and growth ideology shaped by survivalism. The worldview fostered by growth ideology, bolstered by survivalism amidst the volatil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mperative of continuous development for global competitiveness, is underpinned by a linear historical perspective on social evolution and a hierarchical ontology centered around the state and the humans. Here, climate change remains unproblematic, and the environment is consistently marginalized and alienated. The participants approach climate and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a state-centered problem-solving discourse. But digging deeper reveals that they are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of the planet, admitting the global scope of climate change surpassing single country. Participants in the study reveals a ‘survivalism with resignation’, prioritizing immediate survival while recognizing the long-term limits of the earth.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climate and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nd education efforts to consider the prevailing response skepticism and survivalist inclinations within Korean society, groups, and individ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