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차원 현존감 척도(Multimodal Presence Scale: MPS) 번안 및 타당화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Multimodal Presence Scale(MP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문화와융합, 46(2), 114, pp.381-396 Apr, 2024
Subject
학제간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2950-9750
2950-9742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Makransky와 동료들(2017)이 개발한 다차원 현존감 척도를 한국판 다차원 현존감 척도로 번안하고 국내에서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예비조사 300명, 본조사 500명을 전국에서 표집하였다. 먼저, 다차원 현존감 척도를 1차 번역한 후, 상담심리학전공 이중언어번역자가 역번역하였으며, 이를 원문과 검토 및 재검토하는 절차를 거쳤다. 이후 예비조사 자료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리적 현존감 5문항, 자기현존감 5문항, 사회적 현존감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조사 결과, 본 척도의 3개 요인, 14 개 문항의 요인 구조 모형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나 구인타당도가 확인되었으며, 준거타당도와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무작위 배정된 두 집단 간 비교를 통해 교차타당도 또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nslate the multidimensional presence scale developed by Makransky and colleagues(2017) into the Korean version of MPS and validate it. 300 preliminary survey participants and 500 main survey participants were sampled nationwide. First, the multidimensional presence scale was first translated, and then back-translated by a bilingual translator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and went through a procedure of reviewing and reviewing the original text.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preliminary survey data, the scale was reveled composed of physical presence(5 items), self-presence(5 items), and social presence(4 items). As a result, the fit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of the three factors and 14 questions was high, confirming the validity. In addition, the criterion validity and the discrimination validity was confirmed. Cross-validation was also confirm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wo randomly assigned groups. Finally,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written.